戴德의 『喪服變除』와 前漢後期 禮學의 발전
“Sandfubianchu” by Daide and the Development of Ritual Study in the Later Days of Former Han Period
중국사연구 |
71 |
2011 |
동양사
正祖의 학문관과 공부 방법론
Jôngjo(正祖)'s View about Scholarshipand His Doctrine of Study
동양철학 |
34 |
2010 |
철학
正祖의 학문관과 공부 방법론
Jôngjo(正祖)'s View about Scholarshipand His Doctrine of Study
동양철학 |
|
34 |
2010 |
철학
오규 소라이(荻生徂徠)와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의 실학관 비교
A Study about Ogyu Sorai(荻生徂徠) and Dasan(茶山)‘s Silhak
한국실학연구 |
22 |
2011 |
역사학
赤眉亂 시기의 사대부사회와 후한왕조
赤眉亂時期的士大夫社會與後漢王朝
중국고중세사연구 |
23 |
2010 |
역사학
赤眉亂 시기의 사대부사회와 후한왕조
赤眉亂時期的士大夫社會與後漢王朝
중국고중세사연구 |
|
23 |
2010 |
역사학
赤眉亂 시기의 사대부사회와 후한왕조
赤眉亂時期的士大夫社會與後漢王朝
중국고중세사연구 |
23 |
2010 |
역사학
赤眉亂 시기의 사대부사회와 후한왕조
赤眉亂時期的士大夫社會與後漢王朝
중국고중세사연구 |
|
23 |
2010 |
역사학
19世紀 韓․中․日 三國의 『論語』 解釋 比較硏究 - 文質, 君子, 民의 개념을 중심으로
A Comparison Study on 韓․中․日 Three Countries' Translation of 『論語』 in the Nineteenth Century
한국문학논총 |
56 |
2010 |
한국어와문학
19世紀 韓․中․日 三國의 『論語』 解釋 比較硏究 - 文質, 君子, 民의 개념을 중심으로
A Comparison Study on 韓․中․日 Three Countries' Translation of 『論語』 in the Nineteenth Century
한국문학논총 |
|
56 |
2010 |
한국어와문학
17-18世紀 韓⋅中⋅日 儒學에서의 人間理解 硏究 — 王夫之⋅丁若鏞⋅伊藤仁齋를 중심으로 —
The view of human on Korean⋅Chinese⋅Japanese Confucianism in 17-18C - Focused on Wang Fu-zhi, Jeong Yak-yong, Ito Jin-sai
漢文古典硏究 |
20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17-18世紀 韓⋅中⋅日 儒學에서의 人間理解 硏究 — 王夫之⋅丁若鏞⋅伊藤仁齋를 중심으로 —
The view of human on Korean⋅Chinese⋅Japanese Confucianism in 17-18C - Focused on Wang Fu-zhi, Jeong Yak-yong, Ito Jin-sai
漢文古典硏究 |
20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17-18世紀 韓⋅中⋅日 儒學에서의 人間理解 硏究 — 王夫之⋅丁若鏞⋅伊藤仁齋를 중심으로 —
The view of human on Korean⋅Chinese⋅Japanese Confucianism in 17-18C - Focused on Wang Fu-zhi, Jeong Yak-yong, Ito Jin-sai
漢文古典硏究 |
20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17-18世紀 韓⋅中⋅日 儒學에서의 人間理解 硏究 — 王夫之⋅丁若鏞⋅伊藤仁齋를 중심으로 —
The view of human on Korean⋅Chinese⋅Japanese Confucianism in 17-18C - Focused on Wang Fu-zhi, Jeong Yak-yong, Ito Jin-sai
漢文古典硏究 |
20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正祖의 『孟子』論(Ⅰ) - 『鄒書春記』를 중심으로 -
King Jeongjo(正祖)'s Comprehension of the Book of Mencius(『孟子』)- Focusing on Discussions on the Book of Mencius in Spring(『鄒書春記』)-
한국실학연구 |
23 |
2012 |
역사학
正祖의 『孟子』論(Ⅰ) - 『鄒書春記』를 중심으로 -
King Jeongjo(正祖)'s Comprehension of the Book of Mencius(『孟子』)- Focusing on Discussions on the Book of Mencius in Spring(『鄒書春記』)-
한국실학연구 |
23 |
2012 |
역사학
戴德의 『喪服變除』와 前漢後期 禮學의 발전
“Sandfubianchu” by Daide and the Development of Ritual Study in the Later Days of Former Han Period
중국사연구 |
71 |
2011 |
동양사
戴德의 『喪服變除』와 前漢後期 禮學의 발전
“Sandfubianchu” by Daide and the Development of Ritual Study in the Later Days of Former Han Period
중국사연구 |
71 |
2011 |
동양사
沙溪 金長生의 {大學} 이해 - {大學辨疑}를 중심으로-
Kim Jangsaeng's Apprehension of Daxue - centering around Question&Distinction of Daxue
동양고전연구 |
45 |
2011 |
기타인문학
제국적 통합과 집권화의 이념 ― 유종원柳宗元 (773-819) 「봉건론」의 정치철학적 함의 ―
Imperial Integration and the Idea of Centralization
동양철학 |
35 |
2011 |
철학
「策問」에 나타난 正祖의 學問觀
King Jeongjo’s View of Learning Observed in Chaekmun
漢文古典硏究 |
21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策問」에 나타난 正祖의 學問觀
King Jeongjo’s View of Learning Observed in Chaekmun
漢文古典硏究 |
21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爾雅』與郭璞注『易』學思想析論
양명학 |
30 |
2011 |
철학
이을호의 사상의학 연구
對李乙浩四象医学的研究
호남학 |
47 |
2010 |
기타인문학
이을호의 사상의학 연구
對李乙浩四象医学的研究
호남학 |
|
47 |
2010 |
기타인문학
詩文에 나타난 鄭圃隱의 세계관
Poeun Jeong’s World Viewpoint Shown on his Poetry
포은학연구 |
7 |
2011 |
기타인문학
「策問」에 나타난 正祖의 學問觀
King Jeongjo’s View of Learning Observed in Chaekmun
漢文古典硏究 |
21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策問」에 나타난 正祖의 學問觀
King Jeongjo’s View of Learning Observed in Chaekmun
漢文古典硏究 |
21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峿堂 李象秀 학문의 考證學과 그 성격
The bibliographical study in late Chosun Dynasty with its focus on an academic tendency of Sang-soo Lee
동양한문학연구 |
34 |
34 |
2012 |
한국어와문학
萬斯大와 毛奇齡의 宗法論 ― 經學史적 접근을 중심으로 ―
The Theory of the Zongfa(宗法) of Wan Si-tai(萬斯大) and Mao Chi-ling(毛寄齡) ― Focus on View of the History of Jingxue(經學) ―
명청사연구 |
34 |
2010 |
역사학
萬斯大와 毛奇齡의 宗法論 ― 經學史적 접근을 중심으로 ―
The Theory of the Zongfa(宗法) of Wan Si-tai(萬斯大) and Mao Chi-ling(毛寄齡) ― Focus on View of the History of Jingxue(經學) ―
명청사연구 |
|
34 |
2010 |
역사학
丁若鏞, <尙書古訓>의 의례(義例)와 존고(存古)의 문제
Ŭirye 義例 and the problem of ‘Retaining the Old’ 存古 in the Chŏng Yak Yong’s 丁若鏞 Old Exegeses of the Book of Documents 尙書古訓
한국한문학연구 |
45 |
2010 |
한국어와문학
丁若鏞, <尙書古訓>의 의례(義例)와 존고(存古)의 문제
Ŭirye 義例 and the problem of ‘Retaining the Old’ 存古 in the Chŏng Yak Yong’s 丁若鏞 Old Exegeses of the Book of Documents 尙書古訓
한국한문학연구 |
|
45 |
2010 |
한국어와문학
「노자」와 성인의 도-왕필 노학(老學)의 의리적 전회-
Dao-de jing and the Way of the Sage in the Philosophy of Wang Bi
시대와 철학 |
21 |
2 |
2010 |
철학
「노자」와 성인의 도-왕필 노학(老學)의 의리적 전회-
Dao-de jing and the Way of the Sage in the Philosophy of Wang Bi
시대와 철학 |
21 |
2 |
2010 |
철학
正祖의 文武兼全論과 兵書 간행 -認識과 意味를 中心으로-
Munmugyeomjeonron(文武兼全論) and Publishment of Military Tactical Manual by King Jeongjo
역사민속학 |
39 |
2012 |
역사학
『四書評』의 眞僞 논쟁과 이탁오의 경학
The Controversy about Authenticity of Saseopyung and Li, Zhuo-Wu’s Gyeonghak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양명학 |
25 |
2010 |
철학
『四書評』의 眞僞 논쟁과 이탁오의 경학
The Controversy about Authenticity of Saseopyung and Li, Zhuo-Wu’s Gyeonghak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양명학 |
|
25 |
2010 |
철학
‘經’ 개념의 성립과 經書化 과정
The Formation of a Conception of 'Jing'(經, Confucian Classics) and the Process of the Classicization
중국어문논총 |
49 |
2011 |
중국어와문학
정다산(丁茶山)의 문화학적 경전해석
丁茶山之文化學的經典詮釋
한글판<유교문화연구> |
1 |
16 |
2010 |
유교학
정다산(丁茶山)의 문화학적 경전해석
丁茶山之文化學的經典詮釋
한글판<유교문화연구> |
1 |
16 |
2010 |
유교학
漢代 經學世家의 출현과 伏氏一家
An Appearance of Jingxue hijia(經學世家) and Bok's Family in the Han Dynasties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
27 |
2010 |
기타인문학
漢代 經學世家의 출현과 伏氏一家
An Appearance of Jingxue hijia(經學世家) and Bok's Family in the Han Dynasties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
|
27 |
2010 |
기타인문학
정다산(丁茶山)의 문화학적 경전해석
丁茶山之文化學的經典詮釋
한글판<유교문화연구> |
1 |
16 |
2010 |
유교학
정다산(丁茶山)의 문화학적 경전해석
丁茶山之文化學的經典詮釋
한글판<유교문화연구> |
1 |
16 |
2010 |
유교학
省齋 柳重敎의 經學과 經世論
Lyu Joongkyo's thoughts on Chineses Classics and Statecraft
태동고전연구 |
27 |
2011 |
기타인문학
중암 김평묵(重菴 金平黙)에서 경학과 경세론의 연관적 인식
Chungam Kim Pyeongmuk's associative recognition between classical studies and governance theory
태동고전연구 |
27 |
2011 |
기타인문학
漢代 琅邪郡의 儒學 전통과 王吉의 역할
The Tradition of Confucianism and The Role of Wang Ji in Langye ommandery during The Han-Dynasty
人文科學硏究 |
29 |
2011 |
기타인문학
중암 김평묵(重菴 金平黙)에서 경학과 경세론의 연관적 인식
Chungam Kim Pyeongmuk's associative recognition between classical studies and governance theory
태동고전연구 |
27 |
2011 |
기타인문학
간재 전우의 <중용> 해석의 특징
The Characteristic of Gan-Jae Jeon-Woo's Interpretation on the Doctrine of the Mean
동양철학연구 |
65 |
2011 |
철학
漢唐 經學史에서 본 孟子學 硏究
A study on the Mencius studies of the Han-Tang Confucian classics history
동방학 |
23 |
2012 |
기타인문학
정다산(丁茶山)의 문화학적 경전해석
丁茶山之文化學的經典詮釋
한글판<유교문화연구> |
1 |
16 |
2010 |
유교학
정다산(丁茶山)의 문화학적 경전해석
丁茶山之文化學的經典詮釋
한글판<유교문화연구> |
1 |
16 |
2010 |
유교학
翁方綱의 경학 연구 방법론
Weng fang-gang(翁方綱)'s Methodology of Studies on Chinese classics
漢文敎育硏究 |
38 |
2012 |
한국어와문학
退溪의『論語釋義』에 대한 一考 ― 『論語』에 대한 해석 방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oegye’ 『Interpretation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한민족문화연구 |
39 |
2012 |
한국어와문학
조선조후기논어연구사
A History of Studies on the Analects in the Latter Period of the Yi Dynasty
인문논총 |
29 |
2012 |
기타인문학
17世紀 經學方法論 硏究 ‐獨創性 및 批判性을 尺度로 한 經學硏究를 대신하여‐
A Study on the Methodology for Jingxue [經學] in the 17th century
퇴계학보 |
128 |
2010 |
유교학
17世紀 經學方法論 硏究 ‐獨創性 및 批判性을 尺度로 한 經學硏究를 대신하여‐
A Study on the Methodology for Jingxue [經學] in the 17th century
퇴계학보 |
|
128 |
2010 |
유교학
17世紀 經學方法論 硏究 ‐獨創性 및 批判性을 尺度로 한 經學硏究를 대신하여‐
A Study on the Methodology for Jingxue [經學] in the 17th century
퇴계학보 |
128 |
2010 |
유교학
17世紀 經學方法論 硏究 ‐獨創性 및 批判性을 尺度로 한 經學硏究를 대신하여‐
A Study on the Methodology for Jingxue [經學] in the 17th century
퇴계학보 |
|
128 |
2010 |
유교학
현암의 한국실학연구와 그 관점
The views and study on Korean Silhak of Hyun-Am
동방학 |
19 |
2010 |
기타인문학
현암의 한국실학연구와 그 관점
The views and study on Korean Silhak of Hyun-Am
동방학 |
|
19 |
2010 |
기타인문학
정약용 『經世遺表』 구성의 철학적 원리 : 六經四書에 대한 다산의 經學 註釋을 중심으로
Philosophical Principles in the Composition of Jeong Yak-yong's Gyeongseyupyo
동양철학 |
37 |
2012 |
철학
心齋 趙彦儒의 學問論
On Simjae Cho Eon-yu’s Theory of Learning
한국철학논집 |
28 |
2010 |
한국철학일반
心齋 趙彦儒의 學問論
On Simjae Cho Eon-yu’s Theory of Learning
한국철학논집 |
|
28 |
2010 |
한국철학일반
현암의 한국실학연구와 그 관점
The views and study on Korean Silhak of Hyun-Am
동방학 |
19 |
2010 |
기타인문학
현암의 한국실학연구와 그 관점
The views and study on Korean Silhak of Hyun-Am
동방학 |
|
19 |
2010 |
기타인문학
漢代 『詩經』 이해에 나타난 윤리적 정서 — ‘美刺說’을 중심으로 —
Ethical emotions appeared in the understanding of Book of Songs during Han Dynasty - mainly on the ‘Theory of Praise-Criticism’
동양철학연구 |
65 |
2011 |
철학
尹鑴의 『讀書記』와 朴世堂의 『思辨錄』이 朱子學 批判을 위해 저술되었다는 주장의 타당성 검토(Ⅰ) ―『大學』의 ‘格物’ 註釋에 대한 재고찰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mmentaries treating Gewu(格物) in the Dokseogi(『讀書記』) and Sabyullok(『思辨錄』)
한국실학연구 |
22 |
2011 |
역사학
尹鑴의 『讀書記』와 朴世堂의 『思辨錄』이 朱子學 批判을 위해 저술되었다는 주장의 타당성 검토(Ⅰ) ―『大學』의 ‘格物’ 註釋에 대한 재고찰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mmentaries treating Gewu(格物) in the Dokseogi(『讀書記』) and Sabyullok(『思辨錄』)
한국실학연구 |
22 |
2011 |
역사학
정약용 『經世遺表』 구성의 철학적 원리 : 六經四書에 대한 다산의 經學 註釋을 중심으로
Philosophical Principles in the Composition of Jeong Yak-yong's Gyeongseyupyo
동양철학 |
37 |
2012 |
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