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형

연구분야 : B160100 사회과학 > 지리학 > 지리학일반

클래스 : 자연적공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457

한자 : 地形
영어 : topography

e04-03 자연적공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x03-05-01 원인/조건/요소 원인/조건/요소

강수 인자 () [ 降水因子 ]

N1:종류

hasKind (종류)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해안 지형 [ 海岸地形 ]

hasKind (종류)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소지형 [ 小地形 ]

hasKind (종류)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대지형 [ 大地形 ]

hasKind (종류)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구하도 [ 舊河道 ]

hasKind (종류)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충적 지형 [ 沖積地形 ]

hasKind (종류)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침식 지형 [ 浸蝕地形 ]

hasKind (종류)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타포니 [ tafoni ]

hasKind (종류)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퇴적 지형 [ 堆積地形 ]

hasKind (종류)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카르스트 [Karst]

hasKind (종류)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풍화 지형 [ 風化地形 ]

hasKind (종류)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하천 지형 () [ 河川地形 ]

hasKind (종류)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화산 지형 [ 火山地形 ]

R1:개념적

affects (영향)

 

c01-05 분포 분포

식생 분포 [ 植生分布 ]

affects (영향)

 

c01-05 분포 분포

인구 분포 [ 人口分布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e02-01 모델/모형 모델/모형

수치 지형 모델 [ 數値 地形--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천연기념물 (문화재보호법) [ 天然紀念物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d03-01 연구/조사방법 연구/조사방법

지형 분석 () [ 地形分析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지형학 [ 地形學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지형학자 [ 地形學者 ]

resultsIn (산물/결과)

 

a03-03 자연(광물) 자연(광물)

지형성 강우 [ 地形性 降雨 ]

RT (관련어)

 

a04-03 교재·자료 교재/재료

지형도 [ 地形圖 ]

RT (관련어)

 

 

지형 경관론 [ 地形景觀論 ]

R2:기능적

hasMeasurement (측정 기준/척도/지표)

 

y02-05 지도명 지도명

요형도 [ 凹型圖 ]

CLT:참조용어

CCType_ST (구분 해당용어)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고원 () [ 高原 ]

CCType_ST (구분 해당용어)

 

 

만灣 () [ 灣 ]

墓制를 통해 본 漢城期 百濟의 地域相-龍院里遺蹟圈을 中心으로-

A study on Local identity of Baekje in Hanseong Period - centering on the remains of Yongwon-ri -

백제연구 | 55 | 2012 | 역사학

신안군 비금면 일대 보전가치가 있는 무인도서의 지형․지질․경관 특성 및 관리 방안

GGL(Geomorphology․Geology․Landscape)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Plan of Uninhabited Islands which have Conservative Values in Bigeummyeon, Shinangun

한국도서연구 | 23 | 4 | 2011 | 지역학

스톤 마운틴의 형성과 지형

The Formation and Landforms of Stone Mountain

한국사진지리학회지 | 20 | 1 | 2010 | 기타지리학

스톤 마운틴의 형성과 지형

The Formation and Landforms of Stone Mountain

한국사진지리학회지 | 20 | 1 | 2010 | 기타지리학

페루 뿌노지역의 지질 및 지형경관

Geology and Topographic Landscape of Puno, Peru

한국사진지리학회지 | 22 | 1 | 2012 | 기타지리학

추(醜)의 미학과 새로운 문학의 지형도 -감각과 상상의 문제를 중심으로

Aesthetics of Ugliness and Configuration of New Literature -Focusing on the Matter of Sense and Imagination

국제한인문학연구 | 1 | 1 | 2012 | 기타국문학

A study on Architecture and History of Cambodia

캄보디아의 건축양식과 역사 연구

한국사진지리학회지 | 22 | 3 | 2012 | 기타지리학

지형 및 유구분포로 본 백제 사비왕궁의 범위

Study on the spatial range of Sabigung Palace, Baekje -Range based on natural terrain-

역사와 담론 | 60 | 2011 | 역사학

성서 내용의 지리적 배경에 관한 연구 - 팔레스타인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Geographic Setting of Events in Palestine in the Bible

문화역사지리 | 22 | 3 | 2010 | 인문지리학

성서 내용의 지리적 배경에 관한 연구 - 팔레스타인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Geographic Setting of Events in Palestine in the Bible

문화역사지리 | 22 | 3 | 2010 | 인문지리학

목포 갓바위의 지형 및 지질 특성과 활용

Geomorphology and Geology of Gatbawi, Mokpo, Korea

한국지형학회지 | 19 | 1 | 2012 | 지리학

무인도서 관리를 위한 지형․지질․경관 평가방법 개선방안

The Improvement Plan of GGL(Geomorphology․Geology․Landscape) Evaluation Method for Uninhabited Island Management

한국도서연구 | 23 | 4 | 2011 | 지역학

전남 진도 관매8경의 지형․지질․경관과 지오투어리즘 활용

GGL(Geomorphology․Geology․Landscape) Characteristics and Utilization of Geotourism in Gwanmae Eight Landscape, Jindo, Jeollanamdo

한국도서연구 | 24 | 1 | 2012 | 지역학

한국지리 지형단원 수업에서의 인터넷 위성사진 활용 - 네이버 지도를 중심으로 -

Classroom application of satellite pictures in the topography unit of Korean Geography - Based on Naver Map -

한국사진지리학회지 | 22 | 2 | 2012 | 기타지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