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화자

연구분야 : A100100 인문학 > 문학 > 문학이론

클래스 : 인간(역할)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4891

한자 : 女性
영어 : female speaker

a01-06-03 인간(역할)

성별

여자

연령

[연령구분없음]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a01-06-03 인간(역할) 인간(역할)

화자 [ 話者 ]

R1:개념적

RT (관련어)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염정시 [ 艶情詩 ]

이문구 소설의 근대성 인식 - <내 몸은 너무 오래 서 있거나 걸어왔다>를 중심으로

Cognition of modernity in Lee, Moon-gu's novels - Focusing on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4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문구 소설의 근대성 인식 - <내 몸은 너무 오래 서 있거나 걸어왔다>를 중심으로

Cognition of modernity in Lee, Moon-gu's novels - Focusing on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4 | 2010 | 한국어와문학

<속미인곡>의 화자 분석과 작품 해석

A New Analysis of the Speakers and Meaning of Sokmiingok(續美人曲)

한국문학논총 | 60 | 2012 | 한국어와문학

근대전환기 규방가사 <시골여자 슬픈사연>의 성격과 여성화자의 자아인식 - <싀골색씨 설은타령>과의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

The characters and female speaker's self - recognition in Gyubang - Gasa on Modernizing Period - focused on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

한국언어문학 | 72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전환기 규방가사 <시골여자 슬픈사연>의 성격과 여성화자의 자아인식 - <싀골색씨 설은타령>과의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

The characters and female speaker's self - recognition in Gyubang - Gasa on Modernizing Period - focused on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

한국언어문학 | | 72 | 2010 | 한국어와문학

16세기 호남한시의 여성화자 유형과 의의

Types of Women Speakers in Chinese Poetry of Honam Area in the Sixteenth Century and its Significance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20 | 2010 | 한국어와문학

16세기 호남한시의 여성화자 유형과 의의

Types of Women Speakers in Chinese Poetry of Honam Area in the Sixteenth Century and its Significance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 20 | 2010 | 한국어와문학

<환처(宦妻)> 다시 읽기-여성 담론을 읽는 한 방법적 시론

Rereading —Methodological Approach to Reading Female Discussion

열상고전연구 | 32 | 2010 | 기타국문학

<환처(宦妻)> 다시 읽기-여성 담론을 읽는 한 방법적 시론

Rereading —Methodological Approach to Reading Female Discussion

열상고전연구 | | 32 | 2010 | 기타국문학

제주도방언의 친족어 연구 ―여성 화자를 중심으로

Study on the Kinship terms of JeJu dialect― Focused on female speakers

영주어문 | 20 | 2010 | 기타국문학

제주도방언의 친족어 연구 ―여성 화자를 중심으로

Study on the Kinship terms of JeJu dialect― Focused on female speakers

영주어문 | 20 | | 2010 | 기타국문학

기녀 시조의 자기표현 양상 연구 18세기 가집 소재 작품을 중심으로

A study on Aspect of self-expression written in Gi-nye Si-jo

한어문교육 | 22 | 2010 | 국어교육

기녀 시조의 자기표현 양상 연구 18세기 가집 소재 작품을 중심으로

A study on Aspect of self-expression written in Gi-nye Si-jo

한어문교육 | 22 | | 2010 | 국어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