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적 표현의 자유

연구분야 : B130201 사회과학 > 법학 > 공법 > 헌법

클래스 : 원칙/법칙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4998

STNet ID : 1005272

한자 : 政治的表現--自由

d01-02 원칙/법칙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Property (특성/속성)

 

 

소극적 권리

hasProperty (특성/속성)

 

 

대국가적 방어권

S:동의

UF (비우선어)

 

 

정치적 의사표현의 자유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표현의 자유 [ 表現--自由 ]

isKindOf (상위 유형)

 

 

정치적 자유권

N2:부분

hasComponent (구성요소)

 

 

집회 결사의 자유

hasComponent (구성요소)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언론 출판의 자유 [ 言論出版--自由 ]

R1:개념적

RT (관련어)

 

c03-05 정치/국제 정치/국제

선거 운동 () [ 選擧運動 ]

RT (관련어)

관련 제도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선거 중립 의무 () [ 選擧中立義務 ]

법인․단체의 정치자금 기부금지

Prohibition of the Political Contribution of Corporation or Organization

세계헌법연구 | 17 | 1 | 2011 | 법학

인터넷과 선거운동

A Constitutional Study on the Internet and Election Campaign

언론과 법 | 9 | 1 | 2010 | 신문방송학

인터넷과 선거운동

A Constitutional Study on the Internet and Election Campaign

언론과 법 | 9 | 1 | 2010 | 신문방송학

공직선거법 제250조 제2항(낙선목적 허위사실 공표죄)와 관련한 대법원 판결에 대한 헌법적 검토 - 소위 ‘정봉주 사건’을 중심으로 -

A Critical Review on the Supreme Court's Statutory Interpretation of Article 250 Section 2 of the Public Officials Election Act(the Crime of Publication of False Facts) - With the reference of the 'Jung Bong-ju Case' -

법학연구 | 22 | 1 | 2012 | 기타법학

인터넷 선거운동의 주요 쟁점 검토

A Critique of Regulations on Internet Election Campaign

헌법학연구 | 18 | 2 | 2012 | 헌법

대통령의 선거중립의무

Impartiality of the President in Election

헌법학연구 | 17 | 2 | 2011 | 헌법

2011년 헌법 중요 판례

Analysis on the Constitutional Court decisions rendered in 2011

인권과 정의 | 424 | 2012 | 법학

美國憲法上의 政治的 表現의 自由와 選擧運動의 規制

The Freedom of Political Expression in the U.S. Constitution and the Regulation of the Electoral Process

미국헌법연구 | 21 | 2 | 2010 | 헌법

美國憲法上의 政治的 表現의 自由와 選擧運動의 規制

The Freedom of Political Expression in the U.S. Constitution and the Regulation of the Electoral Process

미국헌법연구 | 21 | 2 | 2010 | 헌법

프랑스 공무원의 정치적 표현의 자유와 노동기본권

Les libertés d’opinion et d’expression politique et le droit syndical et le droit de grève dans le domaine des fonctionnaires publiques en droit français

공법연구 | 40 | 3 | 2012 | 법학

공직선거법 제93조 제1항 한정위헌결정(2007헌마1001)의 의미와 과제

The Meaning of and Challenges Left with The Constitutional Court Decision 2007헌마1001

법학연구 | 53 | 1 | 2012 | 기초법

인터넷을 이용한 정치적 표현의 자유에 관한 헌법재판소 결정 비판 -헌재 2011. 12. 29. 2007헌마1001등-

A Critique of KCC’s Decision on the Freedom of Political Expression Using Internet

법학논총 | 36 | 1 | 2012 | 법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