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각교

연구분야 : A041200 인문학 > 종교학 > 한국자생종교

클래스 : 학파/종파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6146

한자 : 大覺敎

y06-03 학파/종파명

이후기관명

대각회

설립자

이완규

소재지1

서울

설립목적_t

포교

설립일자_t

1969. 9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P:개념속성연관

hasWork (창작물)

 

 

수심정로(修心正路)

hasWork (창작물)

 

 

각해일륜 [ 覺海日輪 ]

hasWork (창작물)

 

 

묘법연화경 [ 妙法蓮華經 ]

R1:개념적

isAffectedBy (영향요인)

 

 

대각 사상 ()

R2:기능적

isManagedBy (관리 주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백용성 [ 白龍城 ]

‘원형’에의 의지와 동아시아 근대불교-백용성(白龍城)과 키요자와 만시(淸澤滿之)를 중심으로

The Original Directivity Pattern of Modern Buddhism in East Asia -Focusing on Baek,Yong-Sung(白龍城) And Kiyozawa Manshi(淸澤萬之)

불교연구 | 32 | 2010 | 불교학

‘원형’에의 의지와 동아시아 근대불교-백용성(白龍城)과 키요자와 만시(淸澤滿之)를 중심으로

The Original Directivity Pattern of Modern Buddhism in East Asia -Focusing on Baek,Yong-Sung(白龍城) And Kiyozawa Manshi(淸澤萬之)

불교연구 | | 32 | 2010 | 불교학

식민지(1910~1945)시대의 불교와 국가권력

Buddhism and State Power in Colony Times(1910-1945)

대각사상 | 13 | 2010 | 불교학

식민지(1910~1945)시대의 불교와 국가권력

Buddhism and State Power in Colony Times(1910-1945)

대각사상 | | 13 | 2010 | 불교학

백용성 연구의 회고와 전망

A Study on Remembrance and Prospect of Research of Baekyongsung

대각사상 | 16 | 2011 | 불교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