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쇄원

연구분야 : A020203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조선전기사
D150700 공학 > 건축공학 > 건축문화재

클래스 : 인위적공간
기념물명(문화재)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6330

한자 : 瀟灑園

e04-01 인위적공간

Y04 기념물명(문화재)

구분1

명승 (名勝)

유형/장르

정원 (庭園)

제작자

양산보

제작시대

조선 전기 (朝鮮前期)

소재지

전라남도 (全羅南道)

소장처(자)

담양 (潭陽)

지정호수_t

명승 제40호

지정일자_t

2008. 5. 2.

주소_t

전라남도 담양군 남면 지곡리 123 등

제작(설립)년도_t

1530

형태

유형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원우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a04-07 건축물(시설물) 건축물(시설물)

별서 [ 別墅 ]

N2:부분

hasComponent (구성요소)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송규렴 () [ 宋奎濂 ]

R1:개념적

RT (관련어)

 

 

부용동

李夏坤의 湖南 유람과 瀟灑園 방문

Lee Ha-gon’s Sightseeing throughout Jeolla Province and Visit to Soswawon

지역과 역사 | 26 | 2010 | 역사학

李夏坤의 湖南 유람과 瀟灑園 방문

Lee Ha-gon’s Sightseeing throughout Jeolla Province and Visit to Soswawon

지역과 역사 | | 26 | 2010 | 역사학

瀟灑園 初期 詩壇의 漢詩 一考

The Consideration of the So Swe Won Garden's First Poetical Circles Chinese Poetry

동양한문학연구 | 33 | 33 | 2011 | 한국어와문학

한국의 「소쇄원」과 자연미의 지향점 -「돌의 정원」과 「졸정원」과의 비교의 관점에서

‘Sosoewon’ in Korea and the Aesthetic of Nature

Journal of korean Culture | 18 | 2011 | 현대시(국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