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대산

연구분야 : B101101 사회과학 > 지역학 > 동아시아 > 한국

클래스 : 산/산맥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6332

한자 : 五臺山

x01-04 산/산맥명

위치

강원도 평창군

면적_t

높이 1,565.11m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SpatiallyIncludedIn (공간적 전체)

 

x01-04 산/산맥명 산/산맥명

태백산맥 (지역) [ 太白山脈 ]

isSpatiallyIncludedIn (공간적 전체)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오대산 국립공원 [ 五臺山國立公園 ]

N2:부분

spatiallyIncludes (공간적 부분)

 

 

동대산

spatiallyIncludes (공간적 부분)

 

 

두로봉

spatiallyIncludes (공간적 부분)

 

 

상왕봉

spatiallyIncludes (공간적 부분)

 

 

호령봉

spatiallyIncludes (공간적 부분)

 

x01-04 산/산맥명 산/산맥명

비로봉 [ 飛蘆峰 ]

R4:공간적

isAdjacentTo (근접)

 

 

연곡천

isAdjacentTo (근접)

 

 

오대천

isAdjacentTo (근접)

 

 

소금강

統一新羅의 法華信仰과 불교 문화

Study on the Beobhwa belief (法華信仰) in late-Shilla period

한국사연구 | 150 | 2010 | 역사학

統一新羅의 法華信仰과 불교 문화

Study on the Beobhwa belief (法華信仰) in late-Shilla period

한국사연구 | | 150 | 2010 | 역사학

오대산 월정사의 역사와 전통

A history and tradition of Woljeongsa Temple

禪學(선학) | 30 | 2011 | 응용불교학

한강의 시원 정립에 관한 불교적인 영향 고찰

A Consideration on Buddhist Influence upon the Origin Establishment of the Han River

禪學(선학) | 25 | 2010 | 응용불교학

한강의 시원 정립에 관한 불교적인 영향 고찰

A Consideration on Buddhist Influence upon the Origin Establishment of the Han River

禪學(선학) | | 25 | 2010 | 응용불교학

漢江 發源地의 역사적 인식에 대한 再檢討: 太白山 龍湫를 중심으로

Review on Historical Recognition for the Source of the Han River: Focusing on Yongchu, Mt. Taebaek

문화역사지리 | 22 | 1 | 2010 | 인문지리학

漢江 發源地의 역사적 인식에 대한 再檢討: 太白山 龍湫를 중심으로

Review on Historical Recognition for the Source of the Han River: Focusing on Yongchu, Mt. Taebaek

문화역사지리 | 22 | 1 | 2010 | 인문지리학

唐代 五臺山 文殊聖地와 국가권력

唐代五臺山文殊圣地和国家权力

동양사학연구 | 119 | 2012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