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전선

연구분야 : A110299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기타국문학

클래스 : 신문/잡지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6361

한자 : 文化戰線

y02-03 신문/잡지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affects (영향)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동맹 ()

북한 초기문학과 ‘소련’이라는 참조점 -조소문화 교류, 즈다노비즘, 번역된 냉전논리

Early literature of North Korea and Reference of the Soviet Union. -Cultural Exchange of North Korea and the Soviet Union, Zdanovism and translated logic of cold war.

동악어문학 | 57 | 2011 | 한국어와문학

통일문학 담론의 반성과 분단문학의 기원 재검토

Examination of the Discussion for the Unification Literature and Reconsideration of the Origin for the Division Literature

민족문학사연구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통일문학 담론의 반성과 분단문학의 기원 재검토

Examination of the Discussion for the Unification Literature and Reconsideration of the Origin for the Division Literature

민족문학사연구 |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화전선』을 통해 본 북한시학 형성기 연구

A Study on the Formative Period of North Korean Poetics -Focusing on Munhwa Jeonseon(Cultural Front)-

한국근대문학연구 | 23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