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산별곡

연구분야 : A110203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고전시가

클래스 : 예술작품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6367

한자 : 華山別曲

y02-02 예술작품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y02-01 문헌명 문헌명

악장가사 () [ 樂章歌詞 ]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y02-01 문헌명 문헌명

세종실록 [ 世宗實錄 ]

R1:개념적

isAffectedBy (영향요인)

 

Y02 창작물명 창작물명

한림별곡 [ 翰林別曲 ]

RT (관련어)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하천복록사 [ 荷天福祿詞 ]

鮮初樂章 <五倫歌>의 시대적 의미

The Meaning of Times in Early Joseon Dynasty's Akjang

온지논총 | 24 | 2010 | 기타인문학

鮮初樂章 <五倫歌>의 시대적 의미

The Meaning of Times in Early Joseon Dynasty's Akjang

온지논총 | | 24 | 2010 | 기타인문학

15세기 말에서 16세기 초 경기체가 장르의 정서 변화에 대한 고찰

A Study on a Change in Gyeonggichega Genre Sensibilities from the End of 15th Century to the early 16th Century

고전문학과 교육 | 24 | 2012 | 인문학

龜村 李福老의 <花山別曲><龜嶺別曲>이 지닌 16세기 경기체가로서의 위상 탐구

A Study on the Position of Guchon Lee Bokro's Hwasanbyeolgok and Guryeongbyeolgok as the 16th Century's Gyeonggichega

고전문학연구 | 40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