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금운회거요

연구분야 : A110202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고전산문

클래스 : 문헌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6414

STNet ID : 9009454

한자 : 古今韻會擧要

y02-01 문헌명

저작자

웅충

시대1

조선 전기 (朝鮮前期)

장르/유형

운서 (韻書)

저작년_t

1434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affects (영향)

 

 

운회옥편

affects (영향)

 

y02-01 문헌명 문헌명

동국정운 [ 東國正韻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최만리 () [ 崔萬理 ]

RT (관련어)

 

 

신인손

이른바 세종이 정한 「통고 사성도」에 대하여

On the Whole List of Chinese Four­Rhyme Sounds Supposedly Composed by King Sejong in the 15th Century, with Reference to Yun­Seok Hwang’s Self Reference for Knowledge

규장각 | 40 | 2012 | 기타인문학

동국정운의 운류와 고금운회거요의 반절하자

Rhymes of Donggukjeongun and Fanqie in Gujinyunhuijuyao

인문연구 | 58 | 2010 | 기타인문학

동국정운의 운류와 고금운회거요의 반절하자

Rhymes of Donggukjeongun and Fanqie in Gujinyunhuijuyao

인문연구 | | 58 | 2010 | 기타인문학

동국정운의 운류와 고금운회거요의 자모운

Rhymes of Donggukjeongun and Zimuyun in Gujinyunhuijuyao

서강인문논총 | 28 | 2010 | 기타인문학

동국정운의 운류와 고금운회거요의 자모운

Rhymes of Donggukjeongun and Zimuyun in Gujinyunhuijuyao

서강인문논총 | | 28 | 2010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