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몽주의

연구분야 : A030400 인문학 > 철학 > 서양철학

클래스 : 이론/사상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67

한자 : 啓蒙主義
영어 : Enlightenment
프랑스어 : lumière

d01-01 이론/사상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L:클래스

CCType (개념범주type)

 

 

사조 [ 思潮 ]

C:공통속성

hasProperty (특성/속성)

 

c01-02 기질/품질/형질/성향 기질/품질/형질/성향

계몽성 [ 啓夢性 ]

S:동의

UF (비우선어)

 

 

계몽 철학 [ 啓蒙哲學 ]

UF (비우선어)

 

 

계몽 사조 [ 啓蒙思潮 ]

UF (비우선어)

 

 

계몽 사상 [ 啓夢思想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서양 근대 철학 [ 西洋近代哲學 ]

N2:부분

hasBranch (분기/분과)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애국계몽주의 [ 愛國啓蒙主義 ]

R1:개념적

affects (영향)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여성 고딕 소설 [ 女性--小說 ]

affects (영향)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계몽절대주의 () [ 啓蒙絶對主義 ]

isAffectedBy (영향요인)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계몽적 자유주의 () [ 啓蒙的自由主義 ]

isConceptOf (개념(전체))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이신론 [ 理神論 ]

isConceptOf (개념(전체))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이성 () [ 理性 ]

isConceptOf (개념(전체))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독일 낭만주의 [ 獨逸浪漫主義 ]

isConceptOf (개념(전체))

관련이론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자유주의 이론 [libertarian theory]

개화기 시가의 전고(典故)와 관습적 수사 연구

A Study on the Aesthetics of Allusion and Conventional Expression in the Poetry of the Enlightened Period

한중인문학연구 | 34 | 2011 | 한국어와문학

이광수의 근대시 인식과 시적 주체의 특성 연구: 초기시를 중심으로

The attitude to modern poetry and the characteristic of poetic subject in early works of Lee-KwangSu

비평문학 | 44 | 2012 | 한국어와문학

문화로 읽는 근대 이행기 매체문학 − 「少年韓半島」를 대상으로 −

Reading the Media Literature in the Transitional Period toward Modern Ages as Culture: 「The Boy Han Peninsula」

한국사상과 문화 | 51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화로 읽는 근대 이행기 매체문학 − 「少年韓半島」를 대상으로 −

Reading the Media Literature in the Transitional Period toward Modern Ages as Culture: 「The Boy Han Peninsula」

한국사상과 문화 | | 51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 예학의 연구 기조 전환을 위한 사회철학적 제언 ―禮主仁從의 형식주의에 나타난 근대적 하드웨어를 중심으로

朝鮮礼学の研究基調の転換のための社会哲学的提言 ―礼主仁従の形式主義に表す近代的ハードウェアを中心として

인문학연구 | 38 | 2 | 2011 | 기타인문학

세계화와 문명 - 서구보편주의 비판: 21세기 문명인의 재탄생 -

Globalization & Civilization - Criticism on Western Universalism: Re-birthing of 21st civilized Man -

동서철학연구 | 60 | 2011 | 철학

Etude sur la réception des idées religieuses de Newton en France

프랑스문화예술연구 | 33 | 2010 | 프랑스문화학

Etude sur la réception des idées religieuses de Newton en France

프랑스문화예술연구 | 33 | | 2010 | 프랑스문화학

梁啓超의 「秋風斷藤曲」 탐구 -안중근 의거를 찬미한 중국 근대 대표 지식인의 노래와 그 속내-

A Study of Liang Qichao(梁啓超)’s “Qiufengduantengqu(秋風斷藤曲)”

동아시아문화연구 | 49 | 2011 | 기타인문학

근대국가의 파토스, ‘공감’의 (불)가능성 -『검둥의 설움』에서 『무정』까지

Double face of Empathy, the Pathos of a Nation-State

서강인문논총 | 32 | 2011 | 기타인문학

워즈워스와 아이티 혁명: 계몽적 보편주의의 재구성

Wordsworth and the Haitian Revolution: Reconstructing Enlightenment Universalism

19세기 영어권 문학 | 16 | 2 | 2012 | 영어와문학

세계화 과정과 문화패권주의 지역분화 경향

The Globalization Process and Localized Cultural Hegemony

아시아문화연구 | 25 | 2012 | 기타인문학

민중 개념의 다양성과 그 변천 과정 -신경림의 민족문학론을 대상으로

A Re-interpretation about Min-jung(民衆) on Nationalistic Literature of Shin, Kyeong-rim

현대문학의 연구 | 43 | 2011 | 한국어와문학

18세기 프랑스의 살롱문화와 여성의 문화정체성

Le salon français du XVIIIe siècle et l’identité culturelle des salonnières

한국프랑스학논집 | 76 | 2011 | 프랑스어와문학

종교다원주의 시대에서 본 레싱의 종교사상

Lessings Religionsgedanken im religiösen Pluralismus

독일어문학 | 18 | 3 | 2010 | 독일어와문학

종교다원주의 시대에서 본 레싱의 종교사상

Lessings Religionsgedanken im religiösen Pluralismus

독일어문학 | 18 | 3 | 2010 | 독일어와문학

<몽배금태조>에 표현된 현실인식과 이상세계

A Study on Perceptions of reality and Ideal world as Expressed of 『Mongbaegeumtaejo(夢拜金太祖)』

동양고전연구 | 40 | 2010 | 기타인문학

<몽배금태조>에 표현된 현실인식과 이상세계

A Study on Perceptions of reality and Ideal world as Expressed of 『Mongbaegeumtaejo(夢拜金太祖)』

동양고전연구 | | 40 | 2010 | 기타인문학

공간적 선회: 도시연구의 신 패러다임 -E. 소자의 포스트모던 도시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Spatial Turn: New Paradigm in Urban Studies -Critical Consideration on the Postmodern Urban Theory of E. Soja-

시대와 철학 | 21 | 3 | 2010 | 철학

공간적 선회: 도시연구의 신 패러다임 -E. 소자의 포스트모던 도시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Spatial Turn: New Paradigm in Urban Studies -Critical Consideration on the Postmodern Urban Theory of E. Soja-

시대와 철학 | 21 | 3 | 2010 | 철학

성서의 시각에서 바라 본 하만의「미학의 진수」

Hammans Aesthetica in nuce aus biblischer Sicht

독어독문학 | 53 | 2 | 2012 | 독일어와문학

하만과 소크라테스

Hamann und Sokrates

괴테연구 | 24 | 2011 | 독일어와문학

근대 독일 계몽주의의 중국 유학적 기초와 그 문화철학의 의미- 볼프의 중국 형상: 저항의 은유와 오독 -

Chinese Confucianism Basis of Modern German Enlightenment and Its Meaning in Cultural Philosophy - Chinese Shape Explained by Wolff: Resistance Metaphor and Misreading -

동서철학연구 | 64 | 2012 | 철학

개화기 시가의 수사법 연구 - 반복과 패러디 기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esthectics of Repitition and Parody in the Enlightened Period's Poetry」

어문연구(語文硏究) | 39 | 3 | 2011 | 한국어와문학

르네상스, 계몽주의, 그리고 중국

The Renaissance, the Enlightenment, and China

서양사론 | 106 | 2010 | 역사학

르네상스, 계몽주의, 그리고 중국

The Renaissance, the Enlightenment, and China

서양사론 | | 106 | 2010 | 역사학

곽종원의 비평적 세계관과 신인간형의 논리 -문학개론과 현장비평을 중심으로-

Critical World View and Reasoning of the New Man by Kwak Jong-won -Focus on Introduction to Literature and Site Criticism-

시학과 언어학 | 22 | 2012 | 기타인문학

조선시대의 人權 문제

On the Problem of Human Rights in Chosun Dynasty

정치사상연구 | 18 | 1 | 2012 | 정치외교학

『페르시아인의 편지』의 오리엔탈리즘 연루(連累)에 대해

On the implication of Persian Letters in Orientalism

코기토 | 67 | 2010 | 기타인문학

『페르시아인의 편지』의 오리엔탈리즘 연루(連累)에 대해

On the implication of Persian Letters in Orientalism

코기토 | 67 | | 2010 | 기타인문학

라디셰프와 18세기 러시아 지성사의 문제 - 계몽주의와 감상주의의 절합

노어노문학 | 24 | 3 | 2012 | 러시아어와문학

새로운 학문통합 프로젝트로서의 통섭에 대한 철학적 반성

Philosophical Reflection on the Consilience as a new Project to unify Sciences

철학연구 | 122 | 2012 | 철학

칸트의 종교철학과 도덕과 교육

Kant’s Philosophy of Religion and its Significance to Ethics Education

도덕윤리과교육 | 32 | 2011 | 교육학

계몽주의와 여성의 이성:『이탈리아인』을 중심으로

Enlightenment and Female Reason in The Italian

18세기영문학 | 8 | 1 | 2011 | 영어와문학

계몽주의와 레싱의 유대인관 -『유대인들』과 『현자 나탄』을 중심으로-

Aufklärung und Lessings Anschauung über den Juden - In Juden und Nathan der Weise von G. E. Lessing -

독어교육 | 48 | 48 | 2010 | 독일어와문학

계몽주의, 모더니즘, 휴머니즘: 하버마스 vs. 푸코

Enlightenment, Modernism, Humanism: Habermas Vs. Foucault

철학논총 | 64 | 2 | 2011 | 철학

칸트의 계몽 정신의 유효성

Zur Gültigkeit des Aufklärungsgeistes - In bezug auf Kants Philosophie -

동서철학연구 | 62 | 2011 | 철학

동서 ‘문화⋅문명’의 개념과 그 전개 - 현대 문명 담론의 개념적 이해를 중심으로 -

The Concepts of Eastern and Western ‘Culture-Civilization’ and their Developments - Focusing on Conceptual Understanding of Modern Civilization Discourse

동양철학연구 | 63 | 2010 | 철학

동서 ‘문화⋅문명’의 개념과 그 전개 - 현대 문명 담론의 개념적 이해를 중심으로 -

The Concepts of Eastern and Western ‘Culture-Civilization’ and their Developments - Focusing on Conceptual Understanding of Modern Civilization Discourse

동양철학연구 | | 63 | 2010 | 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