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인 정 트렌카

연구분야 : A150208 인문학 > 영어와문학 > 영문학 > 현대영미소설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6722

STNet ID : 2000072

한자 :
영어 : Trenka, Jane Jeong

y01-01 실존인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정경아

R2:기능적

isFounderOf (기관/단체명)

 

 

[R] 진실과 화해를 위한 해외입양인 모임(TRACK) ()

Images of Korea in Transnational Korean Adoption Narratives

트랜스내셔널 한국 입양 내러티브에 나타난 한국의 이미지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18 | 1 | 2010 | 기타인문학

Images of Korea in Transnational Korean Adoption Narratives

트랜스내셔널 한국 입양 내러티브에 나타난 한국의 이미지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18 | 1 | 2010 | 기타인문학

Reconceptualizing  the  Myth  of  Origin  and  Homecoming  in  a Korean Adoptee Narrative:  Jane  Jeong  Trenka’s  Fugitive  Visions

한국 입양서사에 나타난 귀향과 기원 신화에 대한 재정의: 제인 정 트렌카의『덧없는 환영』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18 | 3 | 2010 | 기타인문학

Reconceptualizing  the  Myth  of  Origin  and  Homecoming  in  a Korean Adoptee Narrative:  Jane  Jeong  Trenka’s  Fugitive  Visions

한국 입양서사에 나타난 귀향과 기원 신화에 대한 재정의: 제인 정 트렌카의『덧없는 환영』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18 | 3 | 2010 | 기타인문학

초국가적 입양과 탈경계적 정체성 —제인 정 트렌카의『피의 언어』

Transnational Adoption and Beyond-Borders Identity: Jane Jeong Trenka’s The Language of Blood

영어영문학 | 57 | 1 | 2011 | 영어와문학

The Temporality of the Late Arrival: Fanon, Trenka, and the Question of Returning

영어영문학연구 | 53 | 2 | 2011 | 영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