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어둔

연구분야 : A020204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조선후기사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6895

STNet ID : 9008649

한자 : 朴於屯

y01-01 실존인물

위치

유럽

생몰년_t

?-?

성별2

남자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RT (관련어)

 

x03-06-05 역(대립/논쟁/투쟁) 역(대립/논쟁/투쟁)

울릉도 쟁계 () [ 鬱陵島爭界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안용복 () [ 安龍福 ]

조선후기 對馬藩의 조선 교섭과 1693년 울릉도 영속시비

Tsushima Domain in Diplomatic Negotiations with Joseon and the Territory Dispute over Ulleungdo in 1693

동북아역사논총 | 37 | 2012 | 역사학

박어둔과 울릉도 쟁계에 관한 연구 - 한·일 양국 자료를 중심으로 한 고찰 -

A Study on Park Eo-dun and Bordering Dispute over Ulleung-do - Focusing on Materials of Korea and Japan -

인문연구 | 58 | 2010 | 기타인문학

박어둔과 울릉도 쟁계에 관한 연구 - 한·일 양국 자료를 중심으로 한 고찰 -

A Study on Park Eo-dun and Bordering Dispute over Ulleung-do - Focusing on Materials of Korea and Japan -

인문연구 | | 58 | 2010 | 기타인문학

울릉도·독도 어로활동에 있어서 울산의 역할과 박어둔 - 조선 숙종조 안용복·박어둔 납치사건의 재조명 -

The Role of Ulsan Area and Park Eo-dun in the Fishery Activity around Ulleungdo․Dokdo

인문연구 | 58 | 2010 | 기타인문학

울릉도·독도 어로활동에 있어서 울산의 역할과 박어둔 - 조선 숙종조 안용복·박어둔 납치사건의 재조명 -

The Role of Ulsan Area and Park Eo-dun in the Fishery Activity around Ulleungdo․Dokdo

인문연구 | | 58 | 2010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