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도

연구분야 : G030101 예술체육 > 미술 > 미술일반 > 미술이론

클래스 : 수준/정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701

한자 : 彩度
영어 : saturation

c01-03 수준/정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색의 3속성 () [ 色--三屬性 ]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e02-04 표준/규격 표준/규격

먼셀 기호 [ --記號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c01-02 기질/품질/형질/성향 기질/품질/형질/성향

유채색 () [ 有彩色 ]

RT (관련어)

 

c01-03 수준/정도 수준/정도

색조 [ 色調 ]

中國 新石器時代의 顔料

The pigments of Chinese Neolithic age

단군학연구 | 22 | 2010 | 기타역사학

中國 新石器時代의 顔料

The pigments of Chinese Neolithic age

단군학연구 | 22 | | 2010 | 기타역사학

중국 신석기시대 채도(彩陶)의 장식 개념과 목적

The concept and purpose of the decoration of the colored porcelains of Chinese Neolithic era

선사와 고대 | 33 | 2010 | 역사학

중국 신석기시대 채도(彩陶)의 장식 개념과 목적

The concept and purpose of the decoration of the colored porcelains of Chinese Neolithic era

선사와 고대 | | 33 | 2010 | 역사학

영화에서의 색채-『8월의 크리스마스』의 경우

Tone of Colors in Films -The Case of 'Christmas in August '

비평문학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영화에서의 색채-『8월의 크리스마스』의 경우

Tone of Colors in Films -The Case of 'Christmas in August '

비평문학 |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중국 신석기시대 陶器에서 표면 장식을 대하는 기본 입장 -장식의 목적과 의욕을 중심으로-

The basic standpoint on the surface decoration of the pottery of Chinese Neolithic era - Focusing on the purpose and desire of the decoration -

단군학연구 | 23 | 2010 | 기타역사학

중국 신석기시대 陶器에서 표면 장식을 대하는 기본 입장 -장식의 목적과 의욕을 중심으로-

The basic standpoint on the surface decoration of the pottery of Chinese Neolithic era - Focusing on the purpose and desire of the decoration -

단군학연구 | 23 | | 2010 | 기타역사학

중국 신석기시대 도기의 채색 표현법과 안료 수급의 관계 -대문구 유적과 유만 유적의 채색 도기를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ression way of the coloring of the Chinese Neolithic era's pottery and the supply of the pigment. -Focusing on the colored pottery of the sites of Dawenkou(大汶口) and Liuwan(柳灣)-

단군학연구 | 24 | 24 | 2011 | 기타역사학

도예가 가모다 쇼지(加守田章二)의 후기 작품의 특성과 제작기법

Study on production technique and late works of a potter, Shoji Kamoda

기초조형학연구 | 12 | 5 | 2011 | 예술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