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민지 말기 수필문학의 양상과 문학장의 변화 ― 최초의 수필 전문지『박문』을 중심으로
The Aspect of Essay and Change of Literary Field in the Late Colonial Period - focusing on the first magazine B'akmoon specialized in essay
비평문학 |
36 |
2010 |
한국어와문학
식민지 말기 수필문학의 양상과 문학장의 변화 ― 최초의 수필 전문지『박문』을 중심으로
The Aspect of Essay and Change of Literary Field in the Late Colonial Period - focusing on the first magazine B'akmoon specialized in essay
비평문학 |
|
36 |
2010 |
한국어와문학
식민지시기 보천교의 ‘공개’와 공개 배경
The Opening of Poch’ǒn’gyo during the Colonial Period and The Opening Background
신종교연구 |
26 |
26 |
2012 |
종교학
식민지시기 한문문장가 계보의 일단 -卞榮晩 편 『五家文抄』를 중심으로-
A Study on a Group of Chinese Writers during the Colonial Period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식민지시기 한문문장가 계보의 일단 -卞榮晩 편 『五家文抄』를 중심으로-
A Study on a Group of Chinese Writers during the Colonial Period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民俗叢談』 硏究
Research on 『Min Sok Chong Dam: Folklore Collection』
열상고전연구 |
32 |
2010 |
기타국문학
『民俗叢談』 硏究
Research on 『Min Sok Chong Dam: Folklore Collection』
열상고전연구 |
|
32 |
2010 |
기타국문학
식민지시기 문학개론의 지형 -잡지를 중심으로 본 식민지 아카데미즘의 일면
Topography of the introduction to literature in the colonial era -One aspect of literary academism focused on magazines
국어국문학 |
161 |
2012 |
한국어와문학
식민지시기 한시 작가로서의 崔益翰—연작체 만시 「哭兒二十五絶」을 중심으로
Changhae Choe Ik-hwan as a Chinese Classic Poet in the Colonial Period
반교어문연구 |
33 |
2012 |
한국어와문학
식민지 시기 아동놀이의 실체와 특징 -울산 방어진 사례를 중심으로-
The True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Plays during the Colonial Period -With Emphasis on Ulsan Bangeojin Case-
실천민속학 연구 |
20 |
2012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