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의 문학혁명, 근대화론과의 대결 -이청준과 방영웅, 『산문시대』에서『창작과비평』까지
Revolution in 1960s' Literature : April Uprising and the Literary Strategy of Counter-Development
한국문학연구 |
39 |
2010 |
한국어와문학
4월의 문학혁명, 근대화론과의 대결 -이청준과 방영웅, 『산문시대』에서『창작과비평』까지
Revolution in 1960s' Literature : April Uprising and the Literary Strategy of Counter-Development
한국문학연구 |
|
39 |
2010 |
한국어와문학
식민지시대 흥행(장) 「취체규칙」의 문화전략과 역사적 추이
The Cultural Strategy and Historical Progress of 'Heung-hang' & 'Heung-hang-jang' 「Control Regulations」 in Colonial Period
상허학보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식민지시대 흥행(장) 「취체규칙」의 문화전략과 역사적 추이
The Cultural Strategy and Historical Progress of 'Heung-hang' & 'Heung-hang-jang' 「Control Regulations」 in Colonial Period
상허학보 |
29 |
|
2010 |
한국어와문학
관전사(貫戰史)의 관점으로 본 한국전쟁 기억의 두 가지 형식 -선우휘의「불꽃」과 하근찬의「수난이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wo Forms of Korean War Memory in the view of point of Transwar-history
어문학 |
113 |
2011 |
한국어와문학
식민지 군중과 개인 ―염상섭의 『狂奔』을 통해서 본 시론
Colonial Crowds and Individual
대동문화연구 |
69 |
2010 |
기타인문학
식민지 군중과 개인 ―염상섭의 『狂奔』을 통해서 본 시론
Colonial Crowds and Individual
대동문화연구 |
|
69 |
2010 |
기타인문학
재일 한인문학의 특장(特長)과 균열의 틈새 - ‘문예동’ 소설의 전개 양상과 특성을 중심으로
Japanese korean literature's forte and a gap of crack
한국언어문학 |
76 |
2011 |
한국어와문학
‘知’의 근대적 전환- 톨스토이 수용을 통해 본 ‘근대지’의 편성과 유통 -
Modern Shift of “Knowledge(知)”: Organization and Circulation of “Modern Knowledge” through the Adoption of Tolstoy
동방학지 |
154 |
2011 |
기타인문학
1960년 전후 (성)문화풍속과 ‘사랑’의 사회성 —손창섭의 <부부>(1962)를 중심으로—
The Sexual Customs in the proximity 1960 and the Publicity of Love
상허학보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1960년 전후 (성)문화풍속과 ‘사랑’의 사회성 —손창섭의 <부부>(1962)를 중심으로—
The Sexual Customs in the proximity 1960 and the Publicity of Love
상허학보 |
29 |
|
2010 |
한국어와문학
인권 및 프라이버시와 유가철학의 규범체계로서 禮 사이의 통약가능성 문제
An Inquiry on the Commensurability between the Propriety[禮] as Criterion System of Confucian Philosophy and Human Rights, Privacy
동양철학 |
35 |
2011 |
철학
『제인 에어』와 『각성』에 나타난 성욕과 가정성
근대영미소설 |
17 |
1 |
2010 |
영어와문학
『제인 에어』와 『각성』에 나타난 성욕과 가정성
근대영미소설 |
17 |
1 |
2010 |
영어와문학
신여성의 근대체험과 영화의 재현 - <사의 찬미>와 <청연>을 중심으로 -
The Modern Experience of New Women and the Representation in Movies
인문과학연구 |
28 |
2011 |
기타인문학
<이무기 사냥꾼>에 나타난 이주 담론 연구
A Study on the Discourse on Immigration in
한중인문학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무기 사냥꾼>에 나타난 이주 담론 연구
A Study on the Discourse on Immigration in
한중인문학연구 |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념형적 접근에 기초한 막스 베버 “국가관”의 이해
Understanding of M. Weber's theory of state based on Ideal type
인문논총 |
27 |
2011 |
기타인문학
블롱델의 행동철학에서 자유와 몸의 관계: 스피노자 철학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La relation entre la liberté et le corps dans la philosophie de l'action de Maurice Blondel une approche comparative avec le spinozisme
근대 철학 |
7 |
2012 |
철학
1910년대의 소설쓰기 원리 연구 -모티프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ethod of Contents Formation in 1910’s Novel
문학교육학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1910년대의 소설쓰기 원리 연구 -모티프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ethod of Contents Formation in 1910’s Novel
문학교육학 |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1910년대 이광수 소설의 개인과 인류
Individual and Mankind in Yi Kwangsu’s Literature
현대소설연구 |
46 |
2011 |
한국어와문학
중국적 공사 관념의 근현대적 전환에 관한 시론
關與中國公私觀念的近現代轉換之試論
동양철학연구 |
68 |
2011 |
철학
아담 스미스와 노자의 자유방임주의 비교
Comparative Study on the Principle of Laissez-faire of Adam Smith and Laozi
동양철학연구 |
61 |
2010 |
철학
아담 스미스와 노자의 자유방임주의 비교
Comparative Study on the Principle of Laissez-faire of Adam Smith and Laozi
동양철학연구 |
|
61 |
2010 |
철학
월남 여성 작가 박순녀의 ‘체험’과 문학 -「아이 러브 유」 「외인촌 입구」 「어떤 파리」를 중심으로-
'Experience' and literature research on Park, Soon-Nyo's novel -With the center on 「I love you」 「entrance to foreign land」 「which Paris」-
한국학연구 |
33 |
2010 |
기타인문학
월남 여성 작가 박순녀의 ‘체험’과 문학 -「아이 러브 유」 「외인촌 입구」 「어떤 파리」를 중심으로-
'Experience' and literature research on Park, Soon-Nyo's novel -With the center on 「I love you」 「entrance to foreign land」 「which Paris」-
한국학연구 |
|
33 |
2010 |
기타인문학
다이쇼 데모크라시와 한․일 근대 작가의 개인주의적 주체 비교연구 - 염상섭과 아쿠타가와 류노스케 비교를 통해 -
A Comparative Study on Taisho Democracy and Individualistic Subjects of Korean․Japanese of Modern Writers - Through the comparison of Yeom Sang-sup and Akutagawa Ryunosuke -
한국문학논총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다이쇼 데모크라시와 한․일 근대 작가의 개인주의적 주체 비교연구 - 염상섭과 아쿠타가와 류노스케 비교를 통해 -
A Comparative Study on Taisho Democracy and Individualistic Subjects of Korean․Japanese of Modern Writers - Through the comparison of Yeom Sang-sup and Akutagawa Ryunosuke -
한국문학논총 |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병주 초기 소설의 자유주의적 성격 연구 -작가의식과 작중 인물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Liberalistic Character of Early Novels by Lee Byung-Joo -Focusing on the author’s consciousness and the characters in his novels-
현대문학의 연구 |
45 |
2011 |
한국어와문학
1990년대의 불안과 <여고괴담>의 공포
Anxiety of 1990s and Terror of Whispering Corridors
한국극예술연구 |
34 |
2011 |
예술체육학
현대 사회의 문제와 유가사상의 현실적 의의 - 개인과 사회의 관계 윤리를 중심으로 -
現代社會的問題與儒家思想的現實意義 -以個人與社會的關係倫理為中心-
유교사상문화연구 |
43 |
2011 |
유교학
그라베의 『나폴레옹 또는 백일천하』에 나타난 위대한 개인과 역사의 관계
as Verhältnis von großem Individuum und Geschichte in Grabbes Napoleon oder die hundert Tage
독일어문학 |
18 |
2 |
2010 |
독일어와문학
그라베의 『나폴레옹 또는 백일천하』에 나타난 위대한 개인과 역사의 관계
as Verhältnis von großem Individuum und Geschichte in Grabbes Napoleon oder die hundert Tage
독일어문학 |
18 |
2 |
2010 |
독일어와문학
태국 작가 찻 껍찟띠의 소설 『판결』을 통해서 본 인간의 멍에와 자유
Human’s Yoke and Liberty of Human in the novel Judgement of Chart Kobchitti
서강인문논총 |
30 |
2011 |
기타인문학
개화기 ‘자유주의’ 수용과 기능 그리고 정치적 함의
The Acception and Function of Liberalism and its political meaning in 19th century Korea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
10 |
1 |
2011 |
동양정치사상
<화용도>에 나타난 ‘몸’의 형상화와 그 의미
The Presentation of the Body in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3 |
2010 |
한국어와문학
<화용도>에 나타난 ‘몸’의 형상화와 그 의미
The Presentation of the Body in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3 |
2010 |
한국어와문학
그릴파르쩌의 『톨레도의 유태 여인』과 헵벨의 『아그네스 베르나우어』
Grillparzers Die Jüdin von Toledo und Hebbels Agnes Bernauer - Im Blick auf die Staatsauffassung der beiden Autoren
헤세연구 |
24 |
2010 |
독일어와문학
<墨子>에 대한 량치차오(梁啓超)의 이해 -개인적 이익을 부정한 묵자에 대한 양계초의 비판
Liangqichao's criticizing about socialisitic aspect of Mozi's philosophy
대동문화연구 |
73 |
2011 |
기타인문학
연대 없는 공동체와 ‘개인적인 것’의 행방
Community without Solidarity, Whereabouts ‘The Individual’
상허학보 |
33 |
2011 |
한국어와문학
초기『신청년』에서 전개된 ‘청년’ 담론의 기원과 성격
The Origin and Trait of the Discourse of ‘Youth’ in Early La Jeunesse
인문과학 |
45 |
2010 |
기타인문학
초기『신청년』에서 전개된 ‘청년’ 담론의 기원과 성격
The Origin and Trait of the Discourse of ‘Youth’ in Early La Jeunesse
인문과학 |
|
45 |
2010 |
기타인문학
언론중재제도의 ‘국가기관 반론권’ 과보호 가능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ossibilities of Overprotection Caused by ‘Right of Reply for Governmental offices’ in Press Arbitration System
한국언론학보 |
54 |
6 |
2010 |
신문방송학
언론중재제도의 ‘국가기관 반론권’ 과보호 가능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ossibilities of Overprotection Caused by ‘Right of Reply for Governmental offices’ in Press Arbitration System
한국언론학보 |
54 |
6 |
2010 |
신문방송학
'다른 산문'과 타티야나 톨스타야: 「파키르」의 분석을 중심으로
Russian ‘Other Prose’ and Tatyana Tolstaya: A Study on The Fakir
슬라브硏究 |
28 |
2 |
2012 |
지역학
선진(先秦) 유학에서 ‘윤리적 존재(ethical being)로서 개인’에 관한 일고찰
The Concept of the Individual as an Ethical Being in Early Confucian Philosophy
인문논총 |
28 |
2011 |
기타인문학
이광수 논설에 나타난 ‘개인=민족’이라는 절대적 자아
An absolute Ego which may be interpreted ‘Individual=Nation’ in Lee Gwang-su's Editorials
인문과학연구논총 |
31 |
2010 |
기타인문학
이광수 논설에 나타난 ‘개인=민족’이라는 절대적 자아
An absolute Ego which may be interpreted ‘Individual=Nation’ in Lee Gwang-su's Editorials
인문과학연구논총 |
|
31 |
2010 |
기타인문학
자아(self)와 개인(person)에 대한 정의 고찰_초기불교를 중심으로
Some Thoughts on the Definition of Self and Person : Centered on Early Buddhism
인도철학 |
28 |
2010 |
철학
자아(self)와 개인(person)에 대한 정의 고찰_초기불교를 중심으로
Some Thoughts on the Definition of Self and Person : Centered on Early Buddhism
인도철학 |
|
28 |
2010 |
철학
「雲英傳」과 「洞仙記」 속 惡人 탄생의 의미
The Meanings of the Birth of Villains in 「Unyoungjeon」 and 「Dongsungi」
漢文古典硏究 |
21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雲英傳」과 「洞仙記」 속 惡人 탄생의 의미
The Meanings of the Birth of Villains in 「Unyoungjeon」 and 「Dongsungi」
漢文古典硏究 |
21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개인・공동체・근대 -『타오르는 푸른 나무』3부작을 중심으로-
個人・共同体・近代 -『燃えあがる緑の木』三部作を中心に - Individual・Community・Modern age - Focusing on『Moeagaru-midorinoki』Trilogy -
日本學硏究 |
34 |
2011 |
일본어와문학
아키그램의 건축에서 나타나는 ‘개인’의 개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cept of ‘Individual’ found in works of Archigram Group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19 |
1 |
2010 |
디자인
아키그램의 건축에서 나타나는 ‘개인’의 개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cept of ‘Individual’ found in works of Archigram Group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19 |
1 |
2010 |
디자인
욕망의 주체로서 개인과 상좌부 불교의 무아론
On the Individual as the Subject of Desire and Anātman in Theravāda Buddhism
禪學(선학) |
26 |
2010 |
응용불교학
욕망의 주체로서 개인과 상좌부 불교의 무아론
On the Individual as the Subject of Desire and Anātman in Theravāda Buddhism
禪學(선학) |
|
26 |
2010 |
응용불교학
호르크하이머: ‘개인’의 종말과 해방의 가능성
Horkheimer: Das Ende des Individuums und die Möglichkeit der Emazipation des Individuums
동서철학연구 |
55 |
2010 |
철학
호르크하이머: ‘개인’의 종말과 해방의 가능성
Horkheimer: Das Ende des Individuums und die Möglichkeit der Emazipation des Individuums
동서철학연구 |
|
55 |
2010 |
철학
중국철학에서 개인주의에 관한 일고찰:先秦 철학에 나타난 정치공동체와 개인
Rethinking Individualism in Chinese Philosophy: Individuals in Political Communities in Early Chinese Philosophy
태동고전연구 |
26 |
2010 |
기타인문학
중국철학에서 개인주의에 관한 일고찰:先秦 철학에 나타난 정치공동체와 개인
Rethinking Individualism in Chinese Philosophy: Individuals in Political Communities in Early Chinese Philosophy
태동고전연구 |
26 |
|
2010 |
기타인문학
문자성과 구어성의 통합과 공감각적 서사로서의 텍스트
Synthesis of Literacy and Orality and Text as Synesthetic Narrative
인문연구 |
58 |
2010 |
기타인문학
문자성과 구어성의 통합과 공감각적 서사로서의 텍스트
Synthesis of Literacy and Orality and Text as Synesthetic Narrative
인문연구 |
|
58 |
2010 |
기타인문학
후스胡適의 사상을 통해 ‘의무가 되어버린 개인의 권리’ 찾기
胡適の思想による「義務になってしまう個人の権利」の探し
인문학연구 |
41 |
2011 |
기타인문학
법경제학의 학적 필연성과 개념화에 대한 고찰
An Inquiry into the Scientific Necessity and Conceptualization of Law and Economics
안암법학 |
34 |
2011 |
법학일반
동아시아적 ‘개인’의 등장: 루쉰의 ‘탈식민적 개인주의’에 관한 시론
The Appearance of Eastern Asia’s Individual: Essay about Lu Xun’s ‘Decolonial Dividualism’
현대중국연구 |
11 |
2 |
2010 |
중국
동아시아적 ‘개인’의 등장: 루쉰의 ‘탈식민적 개인주의’에 관한 시론
The Appearance of Eastern Asia’s Individual: Essay about Lu Xun’s ‘Decolonial Dividualism’
현대중국연구 |
11 |
2 |
2010 |
중국
바그너의 『발퀴레』에 나타난 개인과 공동체 간의 갈등문제
Konfliktfrage zwischen dem Individuum und der Gesellschaft in der Die Walküre von R. Wagner
헤세연구 |
26 |
2011 |
독일어와문학
니체의 역사이해
Nietzsches Historieverstehen
니체연구 |
20 |
2011 |
철학
재호주 작가 김동호의 소설 세계
The novel world of Kim Dong Ho in Australia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3 |
2010 |
한국어와문학
재호주 작가 김동호의 소설 세계
The novel world of Kim Dong Ho in Australia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3 |
2010 |
한국어와문학
18세기 文學觀의 변화와 ‘개인’과 ‘개체’의 발견(1) - 程朱學的 이념의 해체와 ‘개인’ 중심 문학관의 출현 -
The change of a view of literature in the 18th century and the discovery of individuality
동양한문학연구 |
31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18세기 文學觀의 변화와 ‘개인’과 ‘개체’의 발견(1) - 程朱學的 이념의 해체와 ‘개인’ 중심 문학관의 출현 -
The change of a view of literature in the 18th century and the discovery of individuality
동양한문학연구 |
31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헤겔에게서 민족, 국가와 세계사
Hegels Ansicht von Volk, Staat und Weltgeschichte
헤겔연구 |
30 |
2011 |
철학
한말‘민권’인식을 통해 본 한국 사회의‘개인’과 ‘사회’인식에 대한 원형적 고찰: 한말 사회과학적 언설에 나타난‘인민’관과‘민권’인식을 중심으로
A Study on Korean Primitive Perception of ‘Individual’ and ‘People’s Right’ in the Late Choson Dynasty and Taehan Empire
한국정치외교사논총 |
33 |
2 |
2012 |
정치외교학
민족의 상상과 국토의 발견
The Imagination of nation and discovery of national territory
상허학보 |
31 |
2011 |
한국어와문학
개인과 공동체
Individuals and Community
사회와 철학 |
23 |
2012 |
철학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