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유락

연구분야 : G110300 예술체육 > 무용 > 무용사

클래스 : 예술작품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7365

STNet ID : 9006376

한자 : 船遊樂

y02-02 예술작품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e01-05 공연예술 공연예술

향악 정재 [ 鄕樂呈才 ]

R1:개념적

RT (관련어)

 

E01 유형/양식/장르 유형/양식/장르

서도민요 [ 西道民謠 ]

RT (관련어)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어부가 [ 漁父歌 ]

RT (관련어)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배따라기 (민요)

雜歌 <배따라기>의 유형과 구성 원리

A Study on the : it's type and structure.

한국시가연구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雜歌 <배따라기>의 유형과 구성 원리

A Study on the : it's type and structure.

한국시가연구 | 28 | | 2010 | 한국어와문학

교방가요 소재 선악(仙樂) 연구

The study of Sunak(仙樂) which was written in Gyobanggayo(敎坊歌謠)

한국무용교육학회지 | 21 | 2 | 2010 | 무용

교방가요 소재 선악(仙樂) 연구

The study of Sunak(仙樂) which was written in Gyobanggayo(敎坊歌謠)

한국무용교육학회지 | 21 | 2 | 2010 | 무용

조선후기 진주 교방의 정재 공연양상 -敎坊歌謠를 중심으로-

Performing Aspects of Court Dance at Chinju Kyobang in the Late Chosŏn Period -On the Basis of Kyobang Kayo-

한국음악사학보 | 46 | 2011 | 음악학

관서지방 배따라기 연행고(演行考)

A Study on Baettaragi Performance in Northwestern Province of Korea

공연문화연구 | 23 | 2011 | 기타예술일반

<항장무>의 변이양상과 의미에 대한 연구

A study on 'Hangjangmu'

온지논총 | 31 | 2012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