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사

연구분야 : A020200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클래스 : 교재/재료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76

한자 : 啓辭

a04-03 교재·자료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상소 [ 上疏 ]

N1:종류

hasKind (종류)

 

a04-03 교재·자료 교재/재료

합계 [ 合啓 ]

R1:개념적

RT (관련어)

 

a04-03 교재·자료 교재/재료

의궤 [ 儀軌 ]

한국어 교육에서의 어휘 범주와 문법 범주의 경계

Boundary between Lexical Category and Grammatical Categor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oreigners

한국어 의미학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 교육에서의 어휘 범주와 문법 범주의 경계

Boundary between Lexical Category and Grammatical Categor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oreigners

한국어 의미학 | 32 | | 2010 | 한국어와문학

「명사+と+동사」문의 구조 -「명사+だと+동사」문과의 교체현상을 중심으로-

「名詞+と+動詞」文の構造 -「名詞+だと+動詞」文との交替現象を中心に-

일본어학연구 | 33 | 2012 | 일본어와문학

터키 튀르크어에 있어서 계사(copula)의 문제

The Turkish Copula: Its Definition and Functions

한국이슬람학회논총 | 22 | 1 | 2012 | 종교학

계사 유형론의 관점에서 본 한국어 ‘(시적)이다/(유명)하다’의 정체

Identity of 'ida' and 'hada' from the perspective of copula typology

시학과 언어학 | 19 | 2010 | 기타인문학

계사 유형론의 관점에서 본 한국어 ‘(시적)이다/(유명)하다’의 정체

Identity of 'ida' and 'hada' from the perspective of copula typology

시학과 언어학 | | 19 | 2010 | 기타인문학

룩셈부르크어 geben + PP-수동형의 생성

Das geben-Passiv im Luxemburgischen

독어교육 | 49 | 49 | 2010 | 독일어와문학

룩셈부르크어 geben + PP-수동형의 생성

Das geben-Passiv im Luxemburgischen

독어교육 | 49 | 49 | 2010 | 독일어와문학

하이데거의 존재물음과 ‘이다’의 근본의미

Heidegger’s Questions on Existence and the Essential Meaning of ‘Being’

현대유럽철학연구 | 28 | 2012 | 서양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