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전통적 ‘심정’과 서구의 근대적 ‘형식’의 만남 — 근대 일본에서 ‘國學’ 이념의 이중성 —
The meeting of Japan's traditional 'feeling' and Western modern ' formality' - Duplicity of 'Kokgak (Culture and Heritage)' in the Modern Japan
동양철학연구 |
68 |
2011 |
철학
식민지 조선의 황도불교와 공(空)의 정치학
The Imperial-Way Buddhism and the Politics of Emptiness in Colonial Korea
한국학연구 |
22 |
2010 |
기타인문학
식민지 조선의 황도불교와 공(空)의 정치학
The Imperial-Way Buddhism and the Politics of Emptiness in Colonial Korea
한국학연구 |
|
22 |
2010 |
기타인문학
대륙관계 開閉에 대한 일본의 주도적 역할과 함의 - 894년 일본의 고립주의 선택을 중심으로 -
Japan's Initiative and Its Implications in the Decision of the Relationship with the Continent of Asia - focused on the Japan's decision of isolation in 894
유교사상문화연구 |
44 |
2011 |
유교학
明治初 ‘創建神社’ 건립의 의미와 傳統
The significance and tradition of the establishment of ‘Soken Shrine’ (創建神社) in the early Meiji (明治) era
민주주의와 인권 |
10 |
1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明治初 ‘創建神社’ 건립의 의미와 傳統
The significance and tradition of the establishment of ‘Soken Shrine’ (創建神社) in the early Meiji (明治) era
민주주의와 인권 |
10 |
1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전후 일본의 족(族) 문화와 ‘천황’의 부재(不在) ― 미시마 유키오(三島由紀夫) 「달(月)」에 나타난 젊은 세대의 문화 ―
Cultural Tribe of Postwar Japan And Absence of Tenno ― The Young Generation's Culture in Mishima Yukio's Moon ―
아시아문화연구 |
19 |
2010 |
기타인문학
전후 일본의 족(族) 문화와 ‘천황’의 부재(不在) ― 미시마 유키오(三島由紀夫) 「달(月)」에 나타난 젊은 세대의 문화 ―
Cultural Tribe of Postwar Japan And Absence of Tenno ― The Young Generation's Culture in Mishima Yukio's Moon ―
아시아문화연구 |
19 |
|
2010 |
기타인문학
왕위계승분쟁을 통해 본 조루리 작가의 천황관 - 진신의 난, 호겐의 난을 중심으로 -
位争いを通じて見た浄瑠璃作者の天皇観 - 壬申の乱と保元の乱を中心に - A Study on the Point of View shown by the Joruri Authors towards the Japanese Emperor through the Conflict related to the Succession of the Crown - Mainly based on the Jinshin War and the Hogen Rebellion -
日本學硏究 |
34 |
2011 |
일본어와문학
織田정권의 ‘武家神格化’와 天皇
The Deification of Warrior under the Oda Regime and the Japanese Emperor (Tennō)
역사교육 |
121 |
2012 |
역사학
民의 대척점에 선 「王權」의 표상 ; 「天皇」과 「征夷大將軍」
Representation of Imperial Authority in Contrast with Civil Power; 「Emperor」 & 「Great Gen. Jungi(征夷)」
日本思想 |
20 |
2011 |
철학
현대일본의 상징천황제와 기억의 전승
Emperor as a symbol of the unity of the people and succession of memory
일본근대학연구 |
37 |
2012 |
일본문화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