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동

연구분야 : G110300 예술체육 > 무용 > 무용사

클래스 : 인간(성별)
인간(연령)
인간(역할)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7939

한자 : 舞童

a01-02-01 인간(성별)

성별3

남자

a01-02-02 인간(연령)

연령1

어린이

a01-06-03 인간(역할)

활동

춤(舞)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남악 [ 男樂 ]

UF (비우선어)

 

 

동남 [ 童男 ]

S:반의

hasAntonym (반의(대응)어)

 

a01-02-01 인간(성별) 인간(성별)
a01-02-01 인간(성별) / a01-02-02 인간(연령) 인간(연령)
a01-02-01 인간(성별) / a01-02-02 인간(연령) / a01-06-03 인간(역할) 인간(역할)

여악 [ 女樂 ]

R1:개념적

isAffectedBy (영향요인)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성리학 () [ 性理學 ]

RT (관련어)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아악부원양성소 [ 雅樂部員養成所 ]

R2:기능적

produces (대상 개념)

 

 

포구락 [ 抛毬樂 ]

produces (대상 개념)

 

 

보상무 [ 寶相舞 ]

produces (대상 개념)

 

 

수연장 [ 壽延長 ]

produces (대상 개념)

 

 

연백복지무 [ 演百福之舞 ]

produces (대상 개념)

 

B01 행위/행동/역할 행위/행동/역할

장생보연지무 [ 長生寶宴之舞 ]

produces (대상 개념)

 

e01-05 공연예술 공연예술

가인전목단 (춤) [ 佳人剪牧丹 ]

대한제국기 연향에서 정재 준비와 공연의 변모

The Changes on the Preparation and Performance of Chŏngjae during the Imperial Korea

한국음악사학보 | 45 | 2010 | 음악학

대한제국기 연향에서 정재 준비와 공연의 변모

The Changes on the Preparation and Performance of Chŏngjae during the Imperial Korea

한국음악사학보 | | 45 | 2010 | 음악학

일제강점기 기록을 통해 본 춘앵전의 역사성

A Study on the Record and History of Chunaengjeon(春鶯)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무용예술학연구 | 29 | 29 | 2010 | 무용

조선시대 소년 무동수, 무동의 존재양상

Exploring the boy dancers, mudong of the palace in the joseon dynasty

한국음악연구 | 48 | 2010 | 음악학

조선시대 소년 무동수, 무동의 존재양상

Exploring the boy dancers, mudong of the palace in the joseon dynasty

한국음악연구 | 48 | | 2010 | 음악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