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마경

연구분야 : A081300 인문학 > 불교학 > 지역불교및불교사연구
A081400 인문학 > 불교학 > 응용불교학

클래스 : 문헌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8133

한자 : 維摩經

y02-01 문헌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유마힐경

UF (비우선어)

 

 

유마힐소설경 [ 維摩詰所說經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a04-03 교재·자료 교재/재료

불교 경전 [ 佛敎慶典 ]

불성사상의 수용과 조사선의 형성

Adoption of Buddha-nature and formation of Patriarch-seon in seon-sects

불교학연구 | 32 | 2012 | 불교학

許筠 佛敎詩의 禪的 趣向

Zen Preference of Heo Gyun's Buddhist Poetry

동양고전연구 | 45 | 2011 | 기타인문학

남종선사상의 경전적 근거와 그 이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thoughts and texts of Southern-seon

禪學(선학) | 30 | 2011 | 응용불교학

근대 한·일 불교의 정교분리 문제와 종교성 인식

Separation Between Politics and Religion and Recognition of Religiosity in Modern Korean·Japanese Buddhism

불교학연구 | 29 | 2011 | 불교학

이통현의『 해심밀경』과 『유마경』 해석에 대하여

On Li Tongxuan’s Interpretations of the Saṃdhinirmocana-sūtra and the Vimalakīrti-nirdeśa

불교학연구 | 29 | 2011 | 불교학

『유마경』의 정토사상과 西洋의 유토피아사상 고찰

『Vimalakīrti-nirdeśa-Sūtra』’s Pureland, considerate thoughts and the Occident about Utopia's thought

동아시아불교문화 | 10 | 2012 | 지역불교및불교사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