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역사 갈등의 뿌리를 찾아서 - 한일관계의 변화와 총독부 간행 조선사 기술 검토를 중심으로 -
韓日史葛藤の根を探して -韓日係の化と督部刊行の朝鮮史記述を中心に-
한일관계사연구 |
40 |
2011 |
역사학
개항기 일본인들의‘인천(仁川)’표상 - ‘식민도시 인천’담론의 기원
开港期日本人たちの'仁川'表象 - ‘植民都市 仁川’談論の起源
역사문화연구 |
37 |
2010 |
역사학
개항기 일본인들의‘인천(仁川)’표상 - ‘식민도시 인천’담론의 기원
开港期日本人たちの'仁川'表象 - ‘植民都市 仁川’談論の起源
역사문화연구 |
|
37 |
2010 |
역사학
조선·청조의 조공관계와 외교질서 - 『중국역대조공제도연구』의 비판적 분석
Tribute Relation and Diplomatic Order of Joseon and Ching Dynasty - Critical Analysis of 『Research on Historical Tribute Systems of China and Korea』
人文科學硏究 |
29 |
2011 |
기타인문학
이승만의 『청일전기』 번역·간행과 자주독립론
Syngman Rhee's Translation and Publication of Sino-Japanese War History and Thought of Independence
韓國史學史學報 |
22 |
2010 |
역사학
동북아의 ‘지전략적 핵심공간’과 근대 일본의 현상도전 : 공격방어이론의 ‘지리’ 요인을 중심으로
‘Geostrategic Crucial Space' in Northeast Asia and Japan's Challenge to the Status Quo: Focusing on ‘Geography' in Offense-Defense Theory
아시아연구 |
13 |
2 |
2010 |
지역학
동북아의 ‘지전략적 핵심공간’과 근대 일본의 현상도전 : 공격방어이론의 ‘지리’ 요인을 중심으로
‘Geostrategic Crucial Space' in Northeast Asia and Japan's Challenge to the Status Quo: Focusing on ‘Geography' in Offense-Defense Theory
아시아연구 |
13 |
2 |
2010 |
지역학
‘제국’ 개념과 19세기 근대 일본: 근대 일본에서 ‘제국’ 개념의 정립 과정과 그 기능
The Concept of Empire and the Modern Japan of the Nineteenth Century
국제정치논총 |
51 |
1 |
2011 |
정치외교학
조청관계에 대한 편의적 이해 사례
Two Cases of Arbitrary Understandings of the Relationshipbetween Joseon and Qing China
동북아역사논총 |
35 |
2012 |
역사학
[明成聖后御筆] 연구
A Study on the Collection of the Empress Myungsung's Letters
한국민족문화 |
44 |
2012 |
기타인문학
어느 서양인의 눈에 비친 소래마을의 동학농민전쟁
The Dong Hak Peasant War in Solrea village as seen by a Westerner
동학연구 |
28 |
2010 |
기타인문학
어느 서양인의 눈에 비친 소래마을의 동학농민전쟁
The Dong Hak Peasant War in Solrea village as seen by a Westerner
동학연구 |
|
28 |
2010 |
기타인문학
갑오농민전쟁과 일본사회
동학학보 |
20 |
2010 |
역사학
갑오농민전쟁과 일본사회
동학학보 |
|
20 |
2010 |
역사학
德富蘇峰의 동아시아 인식 - 청일전쟁부터 한국병합 시기를 중심으로-
Tokutomi Soho's Views on East Asia : focused on era from the Sino-Japanese War to the annexation of Korea
동북아역사논총 |
27 |
2010 |
역사학
德富蘇峰의 동아시아 인식 - 청일전쟁부터 한국병합 시기를 중심으로-
Tokutomi Soho's Views on East Asia : focused on era from the Sino-Japanese War to the annexation of Korea
동북아역사논총 |
|
27 |
2010 |
역사학
일제 강제합병 이데올로기와 식민지교육정책
Ideology of Japanese compulsory annexation of Korea and colonial education policy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39 |
2011 |
역사학
韓末 朝鮮의 對英修交 考察
A Study on Treaty of Chosun and Great Britain in Late Chosun Dynasty
전북사학 |
40 |
2012 |
역사학
일본제국의 성립과 박문관의 출판활동 ― 청일전쟁기를 중심으로 ―
The Establishment of Japanese Imperialism the Development of Hakubunkan during the Sino-Japanese War
동양사학연구 |
113 |
2010 |
역사학
일본제국의 성립과 박문관의 출판활동 ― 청일전쟁기를 중심으로 ―
The Establishment of Japanese Imperialism the Development of Hakubunkan during the Sino-Japanese War
동양사학연구 |
|
113 |
2010 |
역사학
일제침략기 중국사회의 ‘한국’ 인식 - 한국관련 신문기사를 중심으로 -
Chinese Awareness of Korea in Japanese Colonial Rule - Focused on the Newspaper Articles Related to Korea-
진단학보 |
113 |
2011 |
역사학
신문에서 보는 제국 일본의 국가이상 -메이지 시대를 중심으로-
The national goal towards Japanese imperialism seen in newspapers in the Meiji era
일본연구논총 |
31 |
2010 |
지역학
신문에서 보는 제국 일본의 국가이상 -메이지 시대를 중심으로-
The national goal towards Japanese imperialism seen in newspapers in the Meiji era
일본연구논총 |
|
31 |
2010 |
지역학
司馬遼太郎의『언덕 위의 구름(坂の上の雲)』에 나타난 역사관 연구 -청일전쟁의 원인을 중심으로-
『坂の上の雲』における司馬遼太郎の歴史観
한일군사문화연구 |
12 |
2011 |
기타군사학
청일전쟁기 지식인의 국제정세 인식과 세계관
The Intellectual’s Perception and the World View of International Situation in Sino-Japanese War
아시아문화연구 |
26 |
2012 |
기타인문학
청일전쟁기, 열강과 일본의 중국침탈
일본연구 |
13 |
2010 |
일본어와문학
청일전쟁기, 열강과 일본의 중국침탈
일본연구 |
|
13 |
2010 |
일본어와문학
청일전쟁 이후 雜居地漢城의 공간재편논의와 한청통상조약
The Discussions on Reorganization of a Mixed Residence Quarter Hansung(漢城) and the Sino-Korean Commercial Treaty(1899) after the Sino-Japanese War
서울학연구 |
45 |
2011 |
기타인문학
The Outbreak of the Sino-Japanese War and the Issue of Suzerain-Vassal as Viewed from the Standpoint of Chosŏn
조선에서 바라본 청일전쟁 개전 과정과 종속문제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
17 |
1 |
2012 |
기타역사일반
청일러일전쟁의 전후처리와 한국문제
日清・日露戦争の戦後処理と韓国問題
한일관계사연구 |
36 |
2010 |
역사학
청일러일전쟁의 전후처리와 한국문제
日清・日露戦争の戦後処理と韓国問題
한일관계사연구 |
|
36 |
2010 |
역사학
The Sino-Japanese War (1894-1895): Japanese National Integration and Construction of the Korean "Other"
청일전쟁(1894-1895): 일본의 국민 통합, 그리고 ‘타자’로써 조선상(像) 만들기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
17 |
1 |
2012 |
기타역사일반
청일전쟁 이후 仁川 淸國租界의 법적 지위와 조계 내 조선인 거주문제
清日戦争の勃発以後、清国租界の法的地位と租界内における朝鮮人の居住問題
한국학연구 |
22 |
2010 |
기타인문학
청일전쟁 이후 仁川 淸國租界의 법적 지위와 조계 내 조선인 거주문제
清日戦争の勃発以後、清国租界の法的地位と租界内における朝鮮人の居住問題
한국학연구 |
|
22 |
2010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