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수궁

연구분야 : A020204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조선후기사
D150700 공학 > 건축공학 > 건축문화재

클래스 : 기념물명(문화재)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8768

한자 : 德壽宮
영어 : Deoksugung Palace

Y04 기념물명(문화재)

구분1

사적 (史蹟)

유형/장르

궁궐 (宮闕)

제작자

소혜왕후 (昭惠王后)

제작시대

조선 전기 (朝鮮前期)

소재지

중구 (中區)

소장처(자)

국유 (國有)

지정호수_t

사적 제124호

지정일자_t

1963.1.18

주소_t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99 (정동 5-1)

제작(설립)년도_t

1457

형태

유형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전후

PT (이전명)

 

y07-03 건축물/시설물명 건축물/시설물명

경운궁 [ 慶運宮 ]

B2:전체

isSpatiallyIncludedIn (공간적 전체)

 

y07-03 건축물/시설물명 건축물/시설물명

돈덕전 [ 惇德殿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a04-07 건축물(시설물) 건축물(시설물)

랜드마크 [land mark]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a04-07 건축물(시설물) 건축물(시설물)

조선 궁궐 [ 朝鮮宮闕 ]

N2:부분

hasComponent (구성요소)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중화전 [ 中和殿 ]

창의적 체험을 위한 역사적 장소 탐방 수업 방안

Creative Teaching with Historic Places

역사교육논집 | 49 | 2012 | 역사학

창의적 체험을 위한 역사적 장소 탐방 수업 방안

Creative Teaching with Historic Places

역사교육논집 | 49 | 2012 | 역사학

광무 연간 전후 경운궁의 조영 경위와 공간구조

Reconstruction and Structure of Gyeongungung Palace around the Gwangmu Era

서울학연구 | 40 | 2010 | 기타인문학

1902년 皇帝御極 40년 望六旬 稱慶禮式과 皇都 정비 - 대한제국의 ‘皇都’ 구상에 담긴 만국공법적 제국과 동양적 제국의 이중 表象 -

The celebration of Emperor Kojong's 40th enthronement and 51th birthday and urban maintenance of Imperial Capital in 1902.

서울과 역사 | 81 | 2012 | 역사학

경운궁(慶運宮)의 양관(洋館)들 - 돈덕전과 석조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Yangkwan or Western Style Buildings in Keong’un Palace during the Great Han Empire

서울학연구 | 40 | 2010 | 기타인문학

경운궁(慶運宮)의 양관(洋館)들 - 돈덕전과 석조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Yangkwan or Western Style Buildings in Keong’un Palace during the Great Han Empire

서울학연구 | | 40 | 2010 | 기타인문학

인조 경운궁 즉위의 정치적 의미

The accession of King Injo to throne in Gyeongun Place(慶運宮) and its Political meaning

한국인물사연구 | 15 | 2011 | 역사학

경운궁(慶運宮)의 양관(洋館)들 - 돈덕전과 석조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Yangkwan or Western Style Buildings in Keong’un Palace during the Great Han Empire

서울학연구 | 40 | 2010 | 기타인문학

경운궁(慶運宮)의 양관(洋館)들 - 돈덕전과 석조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Yangkwan or Western Style Buildings in Keong’un Palace during the Great Han Empire

서울학연구 | | 40 | 2010 | 기타인문학

대한제국기의 국가 상징 제정과 경운궁

Gyeongungung Palace and National Symbols of the Daehan Empire

서울학연구 | 40 | 2010 | 기타인문학

대한제국기의 국가 상징 제정과 경운궁

Gyeongungung Palace and National Symbols of the Daehan Empire

서울학연구 | | 40 | 2010 | 기타인문학

황제의 궁궐 경운궁

Gyeongungung, the Palace of Emperor

서울학연구 | 40 | 2010 | 기타인문학

황제의 궁궐 경운궁

Gyeongungung, the Palace of Emperor

서울학연구 | | 40 | 2010 | 기타인문학

대한제국의 상징적 공간표상, 원구단

A Study on the Symbolic Spatial Representation of the Daehan Empire, Wongudan

서울학연구 | 40 | 2010 | 기타인문학

宣祖후반~광해군 초반 궁궐 경영과 ‘慶運宮’의 수립

Palace management in the latter half period of King Seonjo(宣祖)’s reign through the early days of the reign of King Gwang’hae-gun(光海君),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Gyeong’un palace(慶運宮)

서울학연구 | 42 | 2011 | 기타인문학

광무 연간 전후 경운궁의 조영 경위와 공간구조

Reconstruction and Structure of Gyeongungung Palace around the Gwangmu Era

서울학연구 | 40 | 2010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