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보당

연구분야 : A020206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한국현대사
A020103 인문학 > 역사학 > 역사일반 > 정치사(역사학)

클래스 : 조직/단체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8828

한자 : 進步黨

y06-01 조직/단체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평화 통일론 [ 平和統一論 ]

X: 제외

isOppositionOf (대항/억제)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자유당 [ 自由黨 ]

1905년 혁명이후 상인⋅기업가 엘리트의 정치적 등장과 정체의식 -‘국가두마’ 참여를 중심으로, 1905∼1914-

The Russian Commercial-Industrial Elite in the Duma Politics after the 1905 Revolution: Endeavors for a Bourgeois Party

서양사론 | 114 | 2012 | 역사학

1956년 대선과 민주당-진보당 야당연합

Presidential Election in 1956, ‘Union of Opposition Parties’ of the Democratic Party and the Progressive Party

역사비평 | 98 | 2012 | 역사학

조봉암ㆍ진보당ㆍ사회민주주의

Cho, Bong-amㆍJinbo-dangㆍSocial Democracy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64 | 2010 | 역사학

조봉암ㆍ진보당ㆍ사회민주주의

Cho, Bong-amㆍJinbo-dangㆍSocial Democracy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 64 | 2010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