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원제

연구분야 : B020405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비교정치 > 의회/정당/선거

클래스 : 정치/법률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8851

한자 : 兩院制
영어 : bicameral system
동의어(UF) : 이원제(二院制)

d02-02 정치/법률제도

목적_t

의회의 독립된 의사를 반영하기 위함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국회의 구성 [ 國會--構成 ]

N2:부분

hasComponent (구성요소)

일본

a01-06-03 인간(역할) 인간(역할)

중의원 [ 衆議院 ]

hasComponent (구성요소)

일본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참의원 [ 參議院 ]

R2:기능적

hasOpposition (대항/억제)

대응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단원제 [ 單院制 ]

CLT:참조용어

isPropertyOf (특성의 대상)

 

Y06 기관/단체명 기관/단체명

미국의회 () [ 美國議會 ]

통일헌법의 권력구조 ― 의회제도를 중심으로 ―

Power Structure in the Constitution of Unified Korea Focused on the Parliamentary System -

공법연구 | 40 | 2 | 2011 | 법학

南北統一에 대비한 憲法改正의 必要性과 方向

The Direction of the Amendment of Constitution in Preparation for the Unification of Korea

공법연구 | 39 | 2 | 2010 | 법학

南北統一에 대비한 憲法改正의 必要性과 方向

The Direction of the Amendment of Constitution in Preparation for the Unification of Korea

공법연구 | 39 | 2 | 2010 | 법학

지방자치제의 헌법 개정의 필요성과 방향

The demand and resolution of constitutional amendment about local autonomy system

헌법학연구 | 16 | 2 | 2010 | 헌법

지방자치제의 헌법 개정의 필요성과 방향

The demand and resolution of constitutional amendment about local autonomy system

헌법학연구 | 16 | 2 | 2010 | 헌법

일본 분점국회의 교착상태에서 본 양원제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The Problem of Bicameralism Examined by an Analysis on the Gridlock in Divided Diet of Japan

한국과 국제정치 | 27 | 2 | 2011 | 정치외교학

日本 兩院制의 意義와 課題

Significances and Problems of Bicameral System in Japan

가천법학 | 4 | 1 | 2011 | 법학

양원제 개헌론 재고(再考)

Reconsidering Bicameralism

법과사회 | 38 | 2010 | 법학

양원제 개헌론 재고(再考)

Reconsidering Bicameralism

법과사회 | | 38 | 2010 | 법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