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지방의회 20년의 회고와 의정선진화를 위한 지방의원의 역할과제
The Retrospect on Local Council 20 Years and the Councilor’s Role Assignments for the Advancement of Local Council in Korea
한국행정논집 |
23 |
4 |
2011 |
행정학
서울특별시의회 입법활동에의 영향요인 연구 : 의원집단과 지원인력집단의 인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mpact Factor on Legislative Activities of Seoul Metropolitan Council
한국지방자치학회보 |
22 |
2 |
2010 |
정치외교학
서울특별시의회 입법활동에의 영향요인 연구 : 의원집단과 지원인력집단의 인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mpact Factor on Legislative Activities of Seoul Metropolitan Council
한국지방자치학회보 |
22 |
2 |
2010 |
정치외교학
지방의회 상임위원회의 전문성이 의정활동에 미친 영향 분석(II) -민선 4기 대구광역시의회와 경상북도의회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xpertise of Committees in Local Council(Ⅱ) : The Case of Daegu Metropolitan Council and Gyeongsangbuk Do Provincial Council
대한정치학회보 |
19 |
1 |
2011 |
기타사회과학일반
지방의회 이해관계집단의 지방의원 유급제 인식 비교분석
A Study on the Comparative Analysis into the Stake-holders' Recognition of the Stipend System for Members of a Local Assembly.
한국정책과학학회보 |
14 |
4 |
2010 |
정책학
지방의회 이해관계집단의 지방의원 유급제 인식 비교분석
A Study on the Comparative Analysis into the Stake-holders' Recognition of the Stipend System for Members of a Local Assembly.
한국정책과학학회보 |
14 |
4 |
2010 |
정책학
지방의원 유급제의 효과 인식에 관한 연구:주민・공무원에 대한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cognition Structure about the Effectiveness of Stipend System for Members of a Local Assembly.:Focused on the Recognition Survey of the Citizens and Public Servants
정책분석평가학회보 |
20 |
3 |
2010 |
정책학
지방의원 유급제의 효과 인식에 관한 연구:주민・공무원에 대한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cognition Structure about the Effectiveness of Stipend System for Members of a Local Assembly.:Focused on the Recognition Survey of the Citizens and Public Servants
정책분석평가학회보 |
20 |
3 |
2010 |
정책학
지방의원 보수제도 개선 전・후 의정활동 만족도와 장애요인 비교분석 : 2002년과 2010년 실증조사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Analysis into the Satisfaction and Obstacle Factors of the Local Assembly Activities before and after the Improvement of the Stipend System for Members of Local Assembly : Based on the 2002's and 2010's Survey of the Local Assembly : Based on the 2002's and 2010's Survey of the Local Assembly
지방행정연구 |
24 |
4 |
2010 |
행정학
지방의원 보수제도 개선 전・후 의정활동 만족도와 장애요인 비교분석 : 2002년과 2010년 실증조사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Analysis into the Satisfaction and Obstacle Factors of the Local Assembly Activities before and after the Improvement of the Stipend System for Members of Local Assembly : Based on the 2002's and 2010's Survey of the Local Assembly : Based on the 2002's and 2010's Survey of the Local Assembly
지방행정연구 |
24 |
4 |
2010 |
행정학
지방의원 유급제 도입의 효과 분석: 충주시 의회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the Introduction of the Stipend System for Members of a Local Assembly
한국행정학보 |
44 |
4 |
2010 |
행정학
지방의원 유급제 도입의 효과 분석: 충주시 의회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the Introduction of the Stipend System for Members of a Local Assembly
한국행정학보 |
44 |
4 |
2010 |
행정학
지방의원 보좌기능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tivation of Advise function in Local Councilor: Focusing on Seoul-City Council
한국정책연구 |
10 |
3 |
2010 |
기타행정학
지방의원 보좌기능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tivation of Advise function in Local Councilor: Focusing on Seoul-City Council
한국정책연구 |
10 |
3 |
2010 |
기타행정학
지방의원 유급제 도입에 따른 의정활동 평가 :서울과 경기도내 35개 기초자치단체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the Stipend System :on Local council's Performance
GRI연구논총 |
13 |
2 |
2011 |
기초의회의원의 시간사용에 관한 탐색적 연구:개인․제도․정치적 특성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An Exploratory Study on the Time Management of Local Councilors in Korea: With a Special Reference to Individual, Institutional, Political Variables
한국지방자치학회보 |
22 |
4 |
2010 |
정치외교학
기초의회의원의 시간사용에 관한 탐색적 연구:개인․제도․정치적 특성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An Exploratory Study on the Time Management of Local Councilors in Korea: With a Special Reference to Individual, Institutional, Political Variables
한국지방자치학회보 |
22 |
4 |
2010 |
정치외교학
지방의원 전문성 향상을 위한 연수실태와 발전방안
Examining and improving the current training system for Korean local councilors
한국지방자치학회보 |
22 |
2 |
2010 |
정치외교학
지방의원 전문성 향상을 위한 연수실태와 발전방안
Examining and improving the current training system for Korean local councilors
한국지방자치학회보 |
22 |
2 |
2010 |
정치외교학
「지방의회의원 행동강령」에 대한 법적 고찰
The legal contemplation on code of conduct for local assembly man
지방자치법연구 |
12 |
2 |
2012 |
법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