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안 사구

연구분야 : B160300 사회과학 > 지리학 > 자연지리학

클래스 : 자연적공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9313

한자 : 海岸砂丘
영어 : coastal sand-dune

e04-03 자연적공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1:종류

hasKind (종류)

 

a03-03 자연(광물) 자연(광물)

전사구 [ 前砂丘 ]

R1:개념적

isCausedBy (원인)

 

a03-03 자연(광물) 자연(광물)

연안류 [ 沿岸流 ]

RT (관련어)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해안 단구 [ 海岸段丘 ]

강원도 양양 오산리 쌍호 일대 Holocene 환경변화

Environmental Change around the Coastal Lagoon Ssangho, Osan-ri, Yangyang-county, Gangwon-province in the Korean Peninsula

한국지형학회지 | 17 | 2 | 2010 | 지리학

강원도 양양 오산리 쌍호 일대 Holocene 환경변화

Environmental Change around the Coastal Lagoon Ssangho, Osan-ri, Yangyang-county, Gangwon-province in the Korean Peninsula

한국지형학회지 | 17 | 2 | 2010 | 지리학

Development in Geomorphology and Soil Geography: Focusing on the Journal of the Korean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한국지형학회지를 중심으로 본 지형학과 토양지리학의 발달

대한지리학회지 | 47 | 4 | 2012 | 지리학

영덕 고래불 모래해안의 지형 특성과 변화

Geomorphological Properties and Changes of Goreabul Sand Beach in Yeongdeok

한국지형학회지 | 18 | 3 | 2011 | 지리학

지상 라이다를 이용한 단기간 해빈과 해안사구의 지형변화 연구

The short-term morphological changes of the beach and dune using by terrestrial LIDAR

한국지형학회지 | 18 | 4 | 2011 | 지리학

주기적 지형 측량을 통한 해빈과 해안사구의 지형변화: 충남 보령시 소황사구를 사례로

The morphological changes of the beach and dune using by periodical measurements

한국지형학회지 | 19 | 2 | 2012 | 지리학

관매도 해안사구 식물상 및 식생 분포특성

The Distribution of Coastal Sand Dune Flora and Vegetation in Gwanmaedo

한국도서연구 | 24 | 1 | 2012 | 지역학

한국의 지형학 연구 - 해안지형 일반 -

The Coastal Geomorphology in General of Korea - Research Trends and Issues -

한국지형학회지 | 19 | 1 | 2012 | 지리학

신두해안사구지대로 유입되는 영양염류의 시공간적 특성

Spatio-temporal Variation of Incoming Nutrient into Shindu Coastal Dune, Korea

대한지리학회지 | 47 | 2 | 2012 | 지리학

태풍의 통과로 인한 해안사구 지형의 침식과 회복

Erosion and Recovery of Coastal Dunes after Tropical Storms

한국지형학회지 | 19 | 1 | 2012 | 지리학

홀로세 중기 이후 신두리 해안사구의 성장 : 기후변화 및 해수면 변동과의 관련 가능성

Mid- to Late Holocene Progradational Pattern of Shinduri Dunefield: Implications for Sea Level and Climatic Changes in the Western Coast of Korea

한국지형학회지 | 17 | 2 | 2010 | 지리학

홀로세 중기 이후 신두리 해안사구의 성장 : 기후변화 및 해수면 변동과의 관련 가능성

Mid- to Late Holocene Progradational Pattern of Shinduri Dunefield: Implications for Sea Level and Climatic Changes in the Western Coast of Korea

한국지형학회지 | 17 | 2 | 2010 | 지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