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석지

연구분야 : C080103 자연과학 > 지구과학 > 환경지구과학 > 토양환경학

클래스 : 자연적공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9319

한자 : 干潟地
영어 : tideland

e04-03 자연적공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갯벌 [wattenmeer]

R1:개념적

isCausedBy (원인)

 

a03-03 자연(광물) 자연(광물)

퇴적물 [ 堆積物 ]

RT (관련어)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동답 [ 垌畓 ]

R2:기능적

isAppliedTo (적용 대상)

 

d02-03 경제경영제도 경제경영제도

간척 사업 [ 干拓事業 ]

함평만의 간석지 해안지형의 변화

The Changing Process of the Tidal Landforms in Hampyeung Bay, Southwest Korea

한국지형학회지 | 18 | 4 | 2011 | 지리학

표층퇴적물 분석을 통한 동계 안면도 바람아래해수욕장 주변의 퇴적환경 변화특성

Characteristics Variation of the Sedimentary Environment in Winter Season around the Baramarae Beach of Anmyeondo Using Surface Sediment Analysis

한국지형학회지 | 17 | 1 | 2010 | 지리학

표층퇴적물 분석을 통한 동계 안면도 바람아래해수욕장 주변의 퇴적환경 변화특성

Characteristics Variation of the Sedimentary Environment in Winter Season around the Baramarae Beach of Anmyeondo Using Surface Sediment Analysis

한국지형학회지 | 17 | 1 | 2010 | 지리학

선분류 후비교법을 이용한 간석지의 토지피복 변화 및 패턴 분석 - 태안반도 지역을 사례로 -

The Land-cover Changes and Pattern Analysis in the Tidal Flats Using Postclassification Comparison Method: The Case of Taean Peninsula Region

대한지리학회지 | 45 | 2 | 2010 | 지리학

선분류 후비교법을 이용한 간석지의 토지피복 변화 및 패턴 분석 - 태안반도 지역을 사례로 -

The Land-cover Changes and Pattern Analysis in the Tidal Flats Using Postclassification Comparison Method: The Case of Taean Peninsula Region

대한지리학회지 | 45 | 2 | 2010 | 지리학

하구역 퇴적물의 대자율 변화와 기후변화의 연관성

The Relationship between Climate Change and Magnetic Susceptibility of Estuarine Sediments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17 | 5 | 2011 | 지리학

한국의 간석지 연구

Researches on Tidal Flats in Korea

한국지형학회지 | 18 | 4 | 2011 | 지리학

다변량 크리깅과 KOMPSAT-2 영상을 이용한 간석지 표층 퇴적물 분류

Surface Sediments Classification in Tidal Flats using Multivariate Kriging and KOMPSAT-2 Imagery

한국지형학회지 | 19 | 3 | 2012 | 지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