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도시

연구분야 : B091300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정신보건사회복지
B170600 사회과학 > 지역개발 > 지역계획/지역사회개발

클래스 : 인위적공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9321

한자 : 健康都市

e04-01 인위적공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2:기능적

isAdvocatedBy (주창자)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세계보건기구 () [ 世界保健機構 ]

근린의 물리적 환경이 노인의 건강 및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Neighborhood’s Physical Environments on Physical and Mental Health to the Elderly

도시설계 | 12 | 6 | 2011 | 도시개발/계획

건강도시 지표 및 지수 개발과 수도권 지역의 적용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Healthy City Indicators and Index : Case of Seoul Metropolitan Area

국토연구 | 72 | 2012 |

도시환경과 개인특성이 지역주민의 건강수준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uilt Environment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on Health Condition

지역연구 | 27 | 3 | 2011 | 국제/지역개발

건강도시 모델 개발을 위한 고베시 사례 연구

The Case Study of Kobe City for Modeling of Healthy City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18 | 2 | 2012 | 지리학

건강도시와 샬롬커뮤니티를 위한 교회의 취약계층 복지사업의 의미와 한계 - 한국과 미국의 교육복지 사례 -

Meaning and Limit of Church’s Welfare for Vulnerable Group to build Healthy City and Shalom Community - Cases of Educational Welfare of Korea and USA -

신학과 실천 | 32 | 2012 | 기독교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