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행가사에 형상화된 타국의 수도(首都) 풍경과 지향성의 변모
The representation of foreign capitals and the changing aspiration mirrored in the Ga-sa of Envoys
어문논집 |
65 |
2012 |
한국어와문학
니체와 ‘불의 연금술’ 융합모델로서의 ‘문화복합’과 ‘카오스모스’
Nietzsche und ‘Alchemie des Feuers’ - ‘Kulturkomplex’ und ‘Chaosmos’ als antitotalitǟres Ganzheits-und dynamisches Fusionseinheitsmodell
니체연구 |
18 |
2010 |
철학
니체와 ‘불의 연금술’ 융합모델로서의 ‘문화복합’과 ‘카오스모스’
Nietzsche und ‘Alchemie des Feuers’ - ‘Kulturkomplex’ und ‘Chaosmos’ als antitotalitǟres Ganzheits-und dynamisches Fusionseinheitsmodell
니체연구 |
|
18 |
2010 |
철학
1920년대 일본 시찰단원의 가사 <동유감흥록(東遊感興錄)>의 문학적 특질
The Literary Aspect of DongYuGamHungLok the Song of Inspectorate’s Journey to Japan in the 1920s
우리말글 |
54 |
2012 |
한국어와문학
오규원 시론에 나타난 ‘초월성’의 의미 -「언어와 삶」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ranscendence’ in Oh Kyu Won' poetics -focusing on Language and Life-
한국근대문학연구 |
24 |
2011 |
한국어와문학
出生譚을 통해서 본 <蘇賢聖錄> 家門意識의 발현 양상
The revelation aspects of the family consciousness in through birth-folk tales
고전문학과 교육 |
21 |
2011 |
인문학
『세 가지 짧은 이야기 Les Trois contes』에 나타난 ‘종교성’에 관한 몇 가지 숙고들
Quelques réflexions sur le caractère religieux que présente les Trois contes
프랑스문화예술연구 |
31 |
2010 |
프랑스문화학
Critical Evaluation of Arthur Peacocke’s Theory of Divine Action
아더 피콕의 하나님의 행동이론에 대한 비판적 평가
개혁논총 |
19 |
2011 |
기독교신학
박용철의 시론 연구 - ‘존재’와 ‘무명화’의 문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Park, Yong-Cheol's Poetics:On the Focus with the Problem of an ‘Existence’ and an ‘Obscure Flame’
한국학연구 |
39 |
2011 |
기타인문학
김현승 초기시의 식물과 은유 양상
Plant and Metaphor Aspects in Kim Hyeon-Seung's Early Period Poems
우리말글 |
52 |
2011 |
한국어와문학
천황제 국가의 전쟁과 일본 개신교
天皇制國家の戰爭と日本改新敎 The War of the Empire and Japanese Protestantism
日本學硏究 |
32 |
2011 |
일본어와문학
박목월 중기시의 은유 양상 - 시적 자아의 초월성을 중심으로 -
The Aspect of Metaphor in Park Mok-wol's Middle Period Poetry - Focusing on The Transcendence of Poetic Ego -
어문론총 |
52 |
2010 |
한국어와문학
박목월 중기시의 은유 양상 - 시적 자아의 초월성을 중심으로 -
The Aspect of Metaphor in Park Mok-wol's Middle Period Poetry - Focusing on The Transcendence of Poetic Ego -
어문론총 |
|
52 |
2010 |
한국어와문학
전봉건 시집 『돌』에 나타난 은유 구조 연구
A study on the metaphoric structure of the poems of Chun Bong Kun - On the focused of 『The Stone』
한국시학연구 |
27 |
2010 |
한국어와문학
전봉건 시집 『돌』에 나타난 은유 구조 연구
A study on the metaphoric structure of the poems of Chun Bong Kun - On the focused of 『The Stone』
한국시학연구 |
|
27 |
2010 |
한국어와문학
플라톤의 이데아론에 함의된 ‘초월성’의 교육학적 시사점: 칸트의 ‘선험적 이념’을 중심으로
"The Concept of the Transcendental" Implied in Plato's Theory of Ideas: in the Perspective of "Transcendental Ideas" in the Kantian Sense.
교육철학연구 |
33 |
4 |
2011 |
교육학
Workplace Spirituality의 개념적 정의와 모델
Conceptual Definitions and Model of Workplace Spirituality
인사조직연구 |
18 |
4 |
2010 |
경영학
Workplace Spirituality의 개념적 정의와 모델
Conceptual Definitions and Model of Workplace Spirituality
인사조직연구 |
18 |
4 |
2010 |
경영학
기독교 해석학적 관점에서 본 김현승의 문학 -‘이신론(理神論)’적 특징에 대한 고찰-
The study of Kim Hyun-Seung' Literature in the Interpretation' View of Christ
한중인문학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기독교 해석학적 관점에서 본 김현승의 문학 -‘이신론(理神論)’적 특징에 대한 고찰-
The study of Kim Hyun-Seung' Literature in the Interpretation' View of Christ
한중인문학연구 |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마종기 시에 나타난 경계인 의식과 죽음 의식
A study of the sorrow of a marginal man and death perception in the poems of Jong―gi Mah.
한민족문화연구 |
36 |
2011 |
한국어와문학
오규원 시론의 변모 과정 연구
A Study on Transference Process of Oh, Kyu-Won's Poetics
한국민족문화 |
41 |
2011 |
기타인문학
생명의 기원과 다양성 그리고 ‘나의 문화’로서의 생명개념 -토마스 아퀴나스와 가브리엘 마르셀을 중심으로-
L’origine et divercité de la vie et la notion de la vie en tant que ‘culture de Moi’ -Autour de Thomas d'Aquin et Gabriel Marcel-
가톨릭철학 |
16 |
2011 |
철학
수학교육에서의 초월성, 내재성 그리고 상징성에 관한 연구 - Dewey의 수학교육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Study on transcendence, immanence, and symbolism in mathematics education
중등교육연구 |
59 |
1 |
2011 |
교육학
그리스도교 신앙 전통의 해석학적 기반:현시와 선포
The Hermeneutical Foundations of Christian Tradition: Manifestation and Proclamation
신학전망 |
177 |
2012 |
기타가톨릭신학
소현성록의 요괴퇴치담에 나타난 초월성 연구
A Study on Transcendence Shown in the Stories of Exorcising the Ghost in 『Sohyeonseongrok』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57 |
2010 |
한국어와문학
소현성록의 요괴퇴치담에 나타난 초월성 연구
A Study on Transcendence Shown in the Stories of Exorcising the Ghost in 『Sohyeonseongrok』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
57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