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미디어를 통한 장소의 공간으로의 이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ansition from the Site to the Space by New Media
기초조형학연구 |
11 |
6 |
2010 |
예술일반
뉴미디어를 통한 장소의 공간으로의 이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ansition from the Site to the Space by New Media
기초조형학연구 |
11 |
6 |
2010 |
예술일반
웹 2.0 기반의 지리정보를 활용한 경관자원 평가-구글어스를 사례로-
Landscape Resource Assessment Using Web 2.0-based Geographic Information
한국사진지리학회지 |
20 |
3 |
2010 |
기타지리학
웹 2.0 기반의 지리정보를 활용한 경관자원 평가-구글어스를 사례로-
Landscape Resource Assessment Using Web 2.0-based Geographic Information
한국사진지리학회지 |
20 |
3 |
2010 |
기타지리학
구글어스를 이용한 연변지역의 문화⋅역사유적 지도화와 분포의 특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pping and Characteristics of Distributions in Cultural-Historic Sites of Yanbian Area using Google Earth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17 |
1 |
2011 |
지리학
구글어스를 활용한 북한의 호수 분석
The Analysis of the Lake in North Korea using Google Earth
한국사진지리학회지 |
22 |
2 |
2012 |
기타지리학
공간정보기술을 활용한 교수·학습모듈의 개발과 평가
Designing and Assessing Geography Teaching Modules Using Geospatial Technologies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
19 |
3 |
2011 |
지리학
제주도 영주십경과 신(新) 영주십경의 경관자원 평가 - 구글어스의 사진 위치 정보 활용 -
Natural Landscape Resource Assessment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from Google Earth - A Focused on the Ten Scenic Views of Yeongju on Jeju Island -
관광연구논총 |
23 |
2 |
2011 |
기타관광학
스마트폰 GPS를 활용한 지리 학습 모형의 개발과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Geographic Learning Model Using Smartphone GPS
사회과교육 |
51 |
3 |
2012 |
교육학
Google Earth Mash-up 등고선 지도를 활용한 지형단원 수업의 효과 분석
Effectiveness of Landform Teaching using Google Earth Mash-up Contour Map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
19 |
2 |
2011 |
지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