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리

연구분야 : A030100 인문학 > 철학 > 철학일반

클래스 : 기법/방식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2035

한자 : 推理
영어 : inference

d04-01 기법/방식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유추 [ 類推 ]

N1:종류

hasKind (종류)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공간적 추리 [ 空間的 推理 ]

hasKind (종류)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조건 추리 [ 條件推理 ]

R1:개념적

isAffectedBy (영향요인)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논리 [ 論理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추리 서사 () [ 推理敍事 ]

isProcessOf (과정의 대상)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인과 추론 [ 因果推論 ]

R2:기능적

applies (적용 방법/이론)

 

c02-02 인식/의식 인식/의식

예상 [ 豫想 ]

《三俠五義》의 한국적 수용 연구 : 《천자의 나라》를 중심으로

Korean Acceptance of Three Knight-errants and Five Righteous Persons(三俠五義)

중국소설논총 | 31 | 2010 | 중국어와문학

《三俠五義》의 한국적 수용 연구 : 《천자의 나라》를 중심으로

Korean Acceptance of Three Knight-errants and Five Righteous Persons(三俠五義)

중국소설논총 | | 31 | 2010 | 중국어와문학

박태순 소설에 나타난 유년기 형상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Figure of Childhood shown in Novels by Park Tai–sun

비평문학 | 45 | 2012 | 한국어와문학

韓國語에서 證據性이나 意外性의 의미성분을 포함하는 문법요소

Grammatical Elements Containing Evidential or Mirative Components in Korean

언어와 정보 사회 | 15 | 2011 | 기타언어학

주상절리 수업에서 나타난 초등학생의 탐구능력 분석

Analysis of Inquiry Abil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ppeared in Session for Columnar Point

교원교육 | 28 | 2 | 2012 | 교육학

불교의 인식론과 서양의 인식론에 관한 비교연구 - 디그나가·다르마끼르띠·로크·칸트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Buddhist Epistemology and the Epistemology in the Western philosophy-In the view of Dignāga, Dharmakīrti, Locke, Kant

동아시아불교문화 | 9 | 2012 | 지역불교및불교사연구

대상인식과 자기인식으로서 지각과 추리에 관한 다르마키르티의 논증

Dharmakirti's Demonstration on Perception and Inference as Cognition of Object and Self Cognition

인도철학 | 34 | 2012 | 철학

朴景利 小說에 나타난 ‘推理小說적 모티프’의 의미와 양상 연구 -「가을에 온 女人」, 「他人들」, 「겨울비」를 중심으로-

A Study on Mysterious Story-Like Character in Parkgyeongni's Literature

어문연구(語文硏究) | 38 | 4 | 2010 | 한국어와문학

朴景利 小說에 나타난 ‘推理小說적 모티프’의 의미와 양상 연구 -「가을에 온 女人」, 「他人들」, 「겨울비」를 중심으로-

A Study on Mysterious Story-Like Character in Parkgyeongni's Literature

어문연구(語文硏究) | 38 | 4 | 2010 | 한국어와문학

역사 추리 콘텐츠, 활자를 거쳐 영상으로 꽃피우다

History, deduction contents come print in type to visual media

한민족문화연구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역사 추리 콘텐츠, 활자를 거쳐 영상으로 꽃피우다

History, deduction contents come print in type to visual media

한민족문화연구 |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