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상 미술

연구분야 : G030105 예술체육 > 미술 > 미술일반 > 미술사

클래스 : 미술(디자인)양식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2042

한자 : 抽象美術
영어 : abstract art

e01-03 미술(디자인)양식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비대상미술

UF (비우선어)

 

 

비구상미술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1-03 미술(디자인)양식 미술(디자인)양식

옵 아트 [op art]

N1:종류

hasKind (종류)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구축 주의 [ 構築 主義 ]

N2:부분

hasBranch (분기/분과)

 

e01-03 미술(디자인)양식 미술(디자인)양식

기하학적 추상 [ 幾何學的 抽象 ]

R1:개념적

isAffectedBy (영향요인)

 

e01-03 미술(디자인)양식 미술(디자인)양식

추상 회화 [ 抽象繪畫 ]

RT_X (관련어►)

관련 사상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구성주의 () [ 構成主義 ]

RT_X (관련어►)

관련 인물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바실리 칸딘스키 [Kandinsky, Wassily]

RT_X (관련어►)

주창자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마르크 샤갈 [Chagall, Marc]

한국추상미술의 미의식 : 내적 실재로서의 자연과 정신

The Aesthetic Consciousness in Korean Abstract Art : The Nature and The Spirit as the Inner Reality

미학예술학연구 | 33 | 2011 | 기타예술체육

현대미술문맥에서 전시의 기능과 역할 I: 종말론과 냉전시대의 추상미술

Die Rolle und Funktion der Austellung in der Kunstgeschichte der Moderne: Von Ende der Kunst bis Abstraktion in der Zeit des Kalten Kriegs

미술사학보 | 35 | 2010 | 미술

현대미술문맥에서 전시의 기능과 역할 I: 종말론과 냉전시대의 추상미술

Die Rolle und Funktion der Austellung in der Kunstgeschichte der Moderne: Von Ende der Kunst bis Abstraktion in der Zeit des Kalten Kriegs

미술사학보 | | 35 | 2010 | 미술

블라봐츠키의 신지학 이론의 수용에 관한 연구 - 20세기 초의 추상미술의 정신을 중심으로 -

A Study on acceptance of Blavasky' theosophic theory - Focusing on the spirit of abstract arts in the beginning of 20 Century -

예술과 미디어 | 10 | 2 | 2011 | 기타예술일반

한국화, 추상 담론의 가능성 탐색

To understand The Possibility of Discourse on Abstraction in Korean Painting

미술사학보 | 35 | 2010 | 미술

한국화, 추상 담론의 가능성 탐색

To understand The Possibility of Discourse on Abstraction in Korean Painting

미술사학보 | | 35 | 2010 | 미술

추상미술의 미학적 원리: 개념과 장르적 특성을 중심으로

Aesthetic Fundamentals of Abstract Art

미술사학보 | 34 | 2010 | 미술

추상미술의 미학적 원리: 개념과 장르적 특성을 중심으로

Aesthetic Fundamentals of Abstract Art

미술사학보 | | 34 | 2010 | 미술

본원적 실재에 관한 인식화(認識畵)로서의 말레비치의 추상화

Malewitschs suprematistische Bilder als malerische Erkenntnisbilder der noumenalen Welt

미술사학보 | 34 | 2010 | 미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