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민주당

연구분야 : B020405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비교정치 > 의회/정당/선거
B101104 사회과학 > 지역학 > 동아시아 > 일본

클래스 : 조직/단체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20637

한자 : 日本民主黨
영어 : The Democratic Party of Japan

y06-01 조직/단체명

소재지1

일본 (日本)

설립일자_t

1996.9.28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2:부분

hasMember (구성원)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하토야마 유키오 [ 鳩山 由紀夫 ]

hasMember (구성원)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간 나오토 [ 菅直人 ]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복지 정책 [ 福祉 政策 ]

hasIssue (이슈/주제)

 

 

경제 구조 개혁 [ 經濟構造改革 ]

isTributaryOf (합류/통합)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자민당 [ 自民黨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오자와 이치로 [ 小澤一郞 ]

일본의 정당정치 변화와 NPO의 애드보커시: 1990년대 이후 고령자 복지 영역을 중심으로

Change of Party Politics and NPO Advocacy in Japan: Focusing on Welfare Policy for the Elderly after 1990s.

한국정치학회보 | 45 | 5 | 2011 | 정치외교학

민주당 정권 탄생 이후 일본 금융규제정책결정과정의 변화 -일본 민주당 정권의 중소기업대출 ‘상환유예(모라토리엄)’ 구상을 중심으로-

Changes in the process of policy making in financial regulation in Japan after the birth of the Democratic Party : Focus on the ‘Moratorium initiative’ (Loan to SMEs) by the Democratic Party of Japan

일본연구논총 | 34 | 2011 | 지역학

민주당 정권 탄생 이후의 정책결정과정의 특징과 변화: 예산편성과정에서 ‘정치 주도’는 실현되었는가?

Characteristics and Evolution in the Policy-Making Process after the Birth of the Democratic Party Government of Japan: Has the “initiative taken by politicians” in the budgetary process been accomplished?

한국행정학보 | 44 | 3 | 2010 | 행정학

민주당 정권 탄생 이후의 정책결정과정의 특징과 변화: 예산편성과정에서 ‘정치 주도’는 실현되었는가?

Characteristics and Evolution in the Policy-Making Process after the Birth of the Democratic Party Government of Japan: Has the “initiative taken by politicians” in the budgetary process been accomplished?

한국행정학보 | 44 | 3 | 2010 | 행정학

일본 민주당 정부의 대미 정책- “대등한 동맹관계 구축”의 모색과 좌절 -

The US-Japan Alliance Policy under the Democratic Party in Japan

일본연구논총 | 33 | 2011 | 지역학

일본 민주당의 생활정치 이념과 복지정책

The Life Politics Idea and Welfare Police of the Democratic Party in Japan

세계지역연구논총 | 29 | 3 | 2011 | 정치외교학

일본민주당의 집권과 반(反)자민당 정책노선의 딜레마

The DPJ government and a dilemma in anti-LDP policy ideas

국가전략 | 18 | 3 | 2012 | 정치외교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