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안목

연구분야 : A020202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고려시대사

클래스 : 기념물명(문화재)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20733

한자 : 人天眼目

Y04 기념물명(문화재)

구분1

보물 (寶物)

유형/장르

목판본 (木版本)

제작자

지소 (智昭)

제작시대

조선 전기 (朝鮮前期)

소재지

[R]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지정호수_t

보물 제640호

지정일자_t

1989-12-07

제작(설립)년도_t

1395

형태

유형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affects (영향)

 

y02-01 문헌명 문헌명

선문강요집 () [ 禪門綱要集 ]

RT (관련어)

목판본/인쇄본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인천안목 (인쇄본) [ 人天眼目 ]

R5:물리적

hasForm (형태/외형)

 

a04-03 교재·자료 교재/재료

방각본 [ 坊刻本 ]

선어록을 통한 임제삼구의 전개와 그 특징

A trait and development the three-phrase of Linchi in analects

禪學(선학) | 29 | 2011 | 응용불교학

『禪門五宗綱要私記』의 구성과 大機大用의 특징

The organization of SEONMUNOJONGGANGYO-SAGI and fea-ture of great capacity & great function

禪學(선학) | 32 | 2012 | 응용불교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