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산

연구분야 : B080000 사회과학 > 사회학

클래스 : 행위/활동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2091

STNet ID : 9000281

한자 : 出産
영어 : birth

b01-01 행위/활동

행위자

산모 (産母)

행위대상(자)

태아 (胎兒)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분만 [ 分娩 ]

N1:종류

hasKind (종류)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초산 [ 初産 ]

R1:개념적

RT (관련어)

 

E02 모형/기준 모형/기준

출산 의례 [ 出産儀禮 ]

RT (관련어)

 

Z99 기타주제어 기타주제어

산전 의례 [ 産前儀禮 ]

RT (관련어)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모유 수유 () [ 母乳授乳 ]

RT (관련어)

 

c01-02 기질/품질/형질/성향 기질/품질/형질/성향

남아 선호 [ 男兒選好 ]

RT (관련어)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남아 선호 사상 [ 男兒先好思想 ]

14∼17세기 서유럽에서 행한 산모를 위한 의례의 현대적 조망

Postpartum Ritual during the 14∼17 centuries: Focused on Its Function and Application

기독교교육 논총 | 26 | 2011 | 기독교교육

한국 산속(産俗)의 변화 과정 탐색을 통한 유아교육적 의미 고찰

A Study on the Meaning of Childhood Education Through Exploring the Process of Change of Korean Custom of Childbirth

아시아교육연구 | 13 | 3 | 2012 | 교육학

친모 친부의 결정 기준

The Criteria for Determining the paternity and maternity

法學論文集 | 34 | 2 | 2010 | 기타법학

친모 친부의 결정 기준

The Criteria for Determining the paternity and maternity

法學論文集 | 34 | 2 | 2010 | 기타법학

북한의 식량난 및 기근과 인구변동

The Economic Hardship and Famine since the 1990s in North Korea and Its Impact on the Population Dynamics

통일정책연구 | 21 | 1 | 2012 | 정치외교학

임신 출산 관련 어휘 연구-경상도 지역을 중심으로

Vocabulary Study on 'Pregnancy・Childbirth' - Focusing on Gyeongsang-do Region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57 | 2010 | 한국어와문학

임신 출산 관련 어휘 연구-경상도 지역을 중심으로

Vocabulary Study on 'Pregnancy・Childbirth' - Focusing on Gyeongsang-do Region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 57 | 2010 | 한국어와문학

기혼 여성이 처한 환경적 요인이 자녀에 대한 가치관과 출산 행태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Married Women upon Value on Children and upon Childbirth Behavior

한국가족관계학회지 | 15 | 1 | 2010 | 사회과학일반

기혼 여성이 처한 환경적 요인이 자녀에 대한 가치관과 출산 행태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Married Women upon Value on Children and upon Childbirth Behavior

한국가족관계학회지 | 15 | 1 | 2010 | 사회과학일반

예비부모세대의 성별과 가치관에 따른 결혼 및 출산에 관한 인식

Research on the Values the Pre Parents Generation Places on Marriage and Childbirth

유아교육학논집 | 16 | 2 | 2012 | 교육학

한국 성인 남녀의 미혼에 대한 인식: 척도개발을 중심으로

A Development of Awareness Scale of Korean Men and Women on Singleness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 18 | 1 | 2012 | 심리과학

동아시아 국가에서 여성의 고용, 출산 및 성장 간의 상호관련성: 패널 SVAR 모형을 이용한 실증분석

Cross-country Correlations of Women's Employment, Fertility, and Growth in the East Asia: Empirical Analysis using Panel SVAR Model

보건사회연구 | 31 | 1 | 2011 | 사회과학일반

일본 민속에 나타난 태(胎)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lacenta in Japanese Folklore

비교민속학 | 42 | 2010 | 역사학

일본 민속에 나타난 태(胎)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lacenta in Japanese Folklore

비교민속학 | | 42 | 2010 | 역사학

한국의 혼인과 출산 생애과정: 출생코호트별 및 교육수준별 차이를 중심으로

Birth Cohort and Educational Differences in the Marital and Fertility Life Course in South Korea

한국인구학 | 35 | 1 | 2012 | 인구/노인/지역사회학

한국에서 여성의 고용, 출산 및 성장 간의 상호관련성 : 16개 시도의 패널자료를 이용한 실증분석

Women's Employment, Fertility and Growth in Korea: An Empirical Analysis for 16 Cities and Province

경제연구 | 30 | 3 | 2012 | 경제학

20대 미혼자의 낙태 및 다자녀 출산의도에 관한 연구: 장르별 텔레비전 시청량, 확장된 계획행동이론 변인을 중심으로

A Study on Abortion and Multi-Child Birth Intention among the Unmarried in their 20s: Focusing on the Viewing Hours of TV Program Genres and the Variables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미디어, 젠더 & 문화 | 17 | 2011 | 신문방송학

여성의 취업부문과 출산결정에 관한 연구: 공공부문과 민간부문 간의 비교를 중심으로

Career Disruption Uncertainty and Fertility Decision: the Differentials between Public Sector and Private Sector

사회보장연구 | 26 | 2 | 2010 | 사회복지학

여성의 취업부문과 출산결정에 관한 연구: 공공부문과 민간부문 간의 비교를 중심으로

Career Disruption Uncertainty and Fertility Decision: the Differentials between Public Sector and Private Sector

사회보장연구 | 26 | 2 | 2010 | 사회복지학

대학생 대상 임신출산, 모유수유 UCC 및 웹기반 교육자료 분석을 통한 예비부모 맞춤교육시스템의 적용

Application of the pregnancy, childbirth, breast-feeding UCC and web_based tailored pre-parental educational system among University Students

한국디자인포럼 | 34 | 2012 | 디자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