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도

연구분야 : B101101 사회과학 > 지역학 > 동아시아 > 한국

클래스 : 도시/구/동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2130

STNet ID : 1000913

한자 : 忠淸道

x01-03 도시/구/동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공흥도 [ 公洪道 ]

UF (비우선어)

 

 

공청도 [ 公淸道 ]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X01 지명 지명

하삼도 () [ 下三道 ]

isSpatiallyIncludedIn (공간적 전체)

 

X01 지명 지명

남도 () [ 南道 ]

N2:부분

spatiallyIncludes (공간적 부분)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충청북도 [ 忠淸北道 ]

spatiallyIncludes (공간적 부분)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충청남도 [ 忠淸南道 ]

R1:개념적

RT (관련어)

 

E01 유형/양식/장르 유형/양식/장르

경기도 민요

RT (관련어)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충청도 관찰사 [ 忠淸道觀察使 ]

조선 전기 공납용 백자제작에 따른 분청사기 양식변화

Evolution of the Buncheong Wares in the Early Joseon Period as the White Porcelain Takes over the Taxation Supply

미술사학 | 24 | 2010 | 미술

조선 전기 공납용 백자제작에 따른 분청사기 양식변화

Evolution of the Buncheong Wares in the Early Joseon Period as the White Porcelain Takes over the Taxation Supply

미술사학 | 24 | | 2010 | 미술

충북 지역에 유통된 필사본 고소설의 종류와 향유층

Kinds and readership of manuscript novels distributed in Chungbuk(忠北) area

고소설연구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새로 발굴한 방언(7)

The Investigation of the dialect words used in a regional dialect in Korea(7)

방언학 | 13 | 2011 | 한국어와문학

韓国初等学校における日本語教育の現況と課題 -忠淸・全羅地域-

한국 초등학교 일본어교육의 현황과 과제 -청주・전라지역-

일본어교육연구 | 18 | 2010 | 일본어교육

韓国初等学校における日本語教育の現況と課題 -忠淸・全羅地域-

한국 초등학교 일본어교육의 현황과 과제 -청주・전라지역-

일본어교육연구 | | 18 | 2010 | 일본어교육

균역법 시행기 雜役價의 詳定과 지방재정 운영의 변화 -충청도 지역을 중심으로-

The Establishment of Miscellaneous Taxes as Part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Equalized Tax Law and Changes in the Management of Local Finances-With a Special Focus on the Ch´ungch´ŏng Area-

韓國史學報 | 38 | 2010 | 역사학

균역법 시행기 雜役價의 詳定과 지방재정 운영의 변화 -충청도 지역을 중심으로-

The Establishment of Miscellaneous Taxes as Part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Equalized Tax Law and Changes in the Management of Local Finances-With a Special Focus on the Ch´ungch´ŏng Area-

韓國史學報 | | 38 | 2010 | 역사학

새로 발굴한 방언(6)

The Investigation of the dialect words used in a regional dialect in Korea(6)

방언학 | 12 | 2010 | 한국어와문학

새로 발굴한 방언(6)

The Investigation of the dialect words used in a regional dialect in Korea(6)

방언학 | | 12 | 2010 | 한국어와문학

새로 발굴한 방언(5)

The Investigation of the dialect words used in a regional dialect in Korea(5)

방언학 | 11 | 2010 | 한국어와문학

새로 발굴한 방언(5)

The Investigation of the dialect words used in a regional dialect in Korea(5)

방언학 | | 11 | 2010 | 한국어와문학

새로 발굴한 방언(8)

The Investigation of the dialect words used in a regional dialect in Korea(8)

방언학 | 14 | 2011 | 한국어와문학

새로 발굴한 방언(9)

The Investigation of the dialect words used in a regional dialect in Korea(9)

방언학 | 15 | 2012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