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공본풀이

연구분야 : A110205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구비문학(국문학)

클래스 : 예술작품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21437

STNet ID : 9005603

한자 : 三公本--

y02-02 예술작품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affects (영향)

 

y02-01 문헌명 문헌명

가믄장 아기

isOriginOf (기원/근원의 대상개념)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제주특별자치도 [ 濟州特別自治道 ]

RT (관련어)

 

 

전상

무속신화를 통해 본 한국적 신 관념의 단면-신과 인간의 동질성을 중심으로-

Aspect of Korean Idea of God through Shaman Myths-Focusing on homogeneity of God and Human Being-

비교민속학 | 43 | 2010 | 역사학

무속신화를 통해 본 한국적 신 관념의 단면-신과 인간의 동질성을 중심으로-

Aspect of Korean Idea of God through Shaman Myths-Focusing on homogeneity of God and Human Being-

비교민속학 | | 43 | 2010 | 역사학

결혼 이주 여성의 자아존중감 강화를 위한 <내 복에 산다>형 설화의 문학치료적 의미 ―베트남 설화집 '영남척괴열전' 소재 <일야택전>과 <서과전>을 중심으로―

Literary Therapeutic Meaning of My Own FortuneType Folklore to Strengthen Marriage Migration Women’s Self-esteem

구비문학연구 | 33 | 2011 | 한국어와문학

여성 담당층 관점에서의 <초공·이공·삼공본풀이>의 문학-사상의 의미망

Literary and Philosophical Merit of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21 | 2010 | 한국어와문학

여성 담당층 관점에서의 <초공·이공·삼공본풀이>의 문학-사상의 의미망

Literary and Philosophical Merit of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 21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