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오 파크

연구분야 : B160210 사회과학 > 지리학 > 인문지리학 > 환경지리
B160211 사회과학 > 지리학 > 인문지리학 > 관광지리

클래스 : 인위적공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22092

한자 :
영어 : Geopark

e04-01 인위적공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P:개념속성연관

hasPurpose (목적)

 

b02-03 개혁(개편/재편/혁신) 개혁(개편/재편/혁신)

지역 발전 [ 地域發展 ]

hasPurpose (목적)

 

 

자연 환경 보전

S:동의

UF (비우선어)

 

 

지질 공원 [ 地質 公園 ]

N2:부분

spatiallyIncludes (공간적 부분)

 

 

지오사이트

R1:개념적

affects (영향)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지오투어리즘 [geotourism]

R2:기능적

isManagedBy (관리 주체)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유네스코 () [UNESCO]

N3:사례

hasInstance (사례)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제주특별자치도 [ 濟州特別自治道 ]

한탄강 유역 화산지형의 지오파크 조성 가능성

Possibility of Creating a Geopark in the Volcanic Landform of Hantan-gang

한국사진지리학회지 | 21 | 2 | 2011 | 기타지리학

제주도 지오파크의 발전적 콘텐츠 개발 - 산방산·용머리 해안을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Expansive Contents for Jeju-do Geopark - Focus on Sanbangsan and Yongmuri Beach-

한국지형학회지 | 18 | 3 | 2011 | 지리학

거제도 해금강 지오투어리즘 정착을 위한 정책적 접근

Strategical Approaches for Enhancement of Geotourism in the Haegeumgang Geosite in Geoje Island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18 | 2 | 2012 | 지리학

지오파크(Geopark) 명칭에 대한 논의

Debates on the Korean Name of Geopark

한국지형학회지 | 18 | 1 | 2011 | 지리학

홍도 지형 자원을 활용한 지오투어리즘

Geotourism using the Geographical Resources on Hong Island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17 | 1 | 2011 | 지리학

지오사이트로서 석회동굴의 지형적 특성

Topographic Characteristics of Limestone caves as a Potential Geosite

한국사진지리학회지 | 21 | 1 | 2011 | 기타지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