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재적 집단 분석

연구분야 : B080200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연구방법론

클래스 : 분석방법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22253

한자 : 潛在的集團分析
영어 : Iatent class analysis

d03-02 분석방법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LCA [Iatent class analysis]

R1:개념적

RT (관련어)

 

d03-03 측정/척도 측정/척도

잠재 변수 () [ 潛在變數 ]

성격적 탈선 요인에 근거한 경영자들의 유형 분석, 성격 5요인 및 리더 행동과의 관계

The Classification of the Korean Executives Based on the Derailing Factors of Personality, and its Relationship with Big 5 and Leader Behavior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 23 | 4 | 2010 | 심리과학

성격적 탈선 요인에 근거한 경영자들의 유형 분석, 성격 5요인 및 리더 행동과의 관계

The Classification of the Korean Executives Based on the Derailing Factors of Personality, and its Relationship with Big 5 and Leader Behavior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 23 | 4 | 2010 | 심리과학

잠재적 집단 분석(latent class analysis)을 이용한 우울증의 임상양상 연구

Classif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Depression Subtypes: Latent Class Analysis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 30 | 2 | 2011 | 심리과학

초등학생들의 아동학대 잠재적 집단 유형과 심리사회적 적응

Latent Classes of Child Maltreatment and Psychosocial Adjustment amo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학교사회복지 | 21 | 2011 | 사회복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