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색적 공간 데이터 분석

연구분야 : B160102 사회과학 > 지리학 > 지리학일반 > 지리연구방법

클래스 : 기법/방식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22255

한자 : 探索的空間--分析
영어 : exploratory spatial data analysis

d04-01 기법/방식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ESDA [exploratory spatial data analysis]

R1:개념적

RT (관련어)

 

d03-03 측정/척도 측정/척도

공간 분리성 측도 [spatial separation measure]

RT (관련어)

 

C03 현상/이슈 현상/이슈

인구 이동 () [ 人口移動 ]

R2:기능적

analyzes (분석 대상)

 

a04-03 교재·자료 교재/재료

공간 데이터 [ 空間-- ]

연령별 인구이동 특성에 대한 탐색적 공간 데이터 분석(ESDA): 대구시를 사례로

Exploratory Spatial Data Analysis(ESDA) for Age-Specific Migration Characteristics: A Case Study on Daegu Metropolitan City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16 | 5 | 2010 | 지리학

연령별 인구이동 특성에 대한 탐색적 공간 데이터 분석(ESDA): 대구시를 사례로

Exploratory Spatial Data Analysis(ESDA) for Age-Specific Migration Characteristics: A Case Study on Daegu Metropolitan City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16 | 5 | 2010 | 지리학

연령별 인구이동 특성에 대한 탐색적 공간 데이터 분석(ESDA): 대구시를 사례로

Exploratory Spatial Data Analysis(ESDA) for Age-Specific Migration Characteristics: A Case Study on Daegu Metropolitan City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16 | 5 | 2010 | 지리학

연령별 인구이동 특성에 대한 탐색적 공간 데이터 분석(ESDA): 대구시를 사례로

Exploratory Spatial Data Analysis(ESDA) for Age-Specific Migration Characteristics: A Case Study on Daegu Metropolitan City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16 | 5 | 2010 | 지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