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깃털 달린 인간’의 ‘변신’ 이야기 - ‘숨’의 생명미학을 통해서 본 디오니소스적 인간과 소크라테스적 인간
Metamorphose des ‘beflügelten’ Menschen - Nietzsche und Asiatische Lebensästhetik der ‘Atmung’
니체연구 |
20 |
2011 |
철학
D. H. 로렌스와 (기관 없는)신체
D. H. Lawrence and the Body (Without Organs)
비교문학 |
50 |
2010 |
인문학
D. H. 로렌스와 (기관 없는)신체
D. H. Lawrence and the Body (Without Organs)
비교문학 |
|
50 |
2010 |
인문학
이청준 소설의 신화적 상상력과 공간 -<신화의 시대>와 <신화를 삼킨 섬>을 중심으로-
The Mythic Imagination and Space of Cheongjun Lee’s Novels -Focusing on and -
현대소설연구 |
45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청준 소설의 신화적 상상력과 공간 -<신화의 시대>와 <신화를 삼킨 섬>을 중심으로-
The Mythic Imagination and Space of Cheongjun Lee’s Novels -Focusing on and -
현대소설연구 |
|
45 |
2010 |
한국어와문학
자아정체성 부정을 통한 새로운 윤리의 가능성
The Possibility of New Ethics on the Denial of Identity
철학연구 |
44 |
2011 |
철학
‘통과의례’로서의 「퇴원」의 신화성 연구
Mythologize Study of ‘Discharge from Hospital' as Rites of Passage
어문학 |
115 |
2012 |
한국어와문학
예비초등교사의 단계적 교육실습 경험에 따른 교직사회화 과정
A process of teaching professional socialization through the practicum in stages of elementary student teachers
교육과정연구 |
30 |
3 |
2012 |
교육학
Le paysage du chaos et du cosmos chez Valéry – le décor et l’esthétique d’Orphée et d’Amphion
발레리의 작품에 나타나는 ‘카오스’와 ‘코스모스’의 풍경 - 「오르페우스 Orphée」와 『암피온 Amphion』의 배경과 미학
불어불문학연구 |
81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Le paysage du chaos et du cosmos chez Valéry – le décor et l’esthétique d’Orphée et d’Amphion
발레리의 작품에 나타나는 ‘카오스’와 ‘코스모스’의 풍경 - 「오르페우스 Orphée」와 『암피온 Amphion』의 배경과 미학
불어불문학연구 |
|
81 |
2010 |
프랑스어와문학
소통환경의 변화와 복잡계 이론: 사회변동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모색
Complex System and Social Change: Prospect of Complexity Paradigm
커뮤니케이션 이론 |
8 |
2 |
2012 |
신문방송학
한국 신종교의 축제 문화 연구
A Study on the Korean New Religions’ Feast Culture
신종교연구 |
23 |
23 |
2010 |
종교학
한국 신종교의 축제 문화 연구
A Study on the Korean New Religions’ Feast Culture
신종교연구 |
23 |
23 |
2010 |
종교학
탐라국 창조신화와 희랍신화
Myth of Creation in Tamra and Greek Myth
민족미학 |
9 |
2010 |
미학일반
탐라국 창조신화와 희랍신화
Myth of Creation in Tamra and Greek Myth
민족미학 |
9 |
|
2010 |
미학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