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한 미 공보원

연구분야 :

클래스 :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22444

한자 : 駐韓美公報院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se (우선어)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주한 미국 공보원 [ 駐韓美國公報院 ]

한국전쟁 이후 극장 문화 로컬리티(locality) - 강원도 도시를 중심으로

Movie Theaters in the Locality of Cultural Landscape during the post-Korean War era ― focusing on the major cities in the Gangwon-do

대동문화연구 | 77 | 2012 | 기타인문학

1950년대 번역 장의 형성과 문학 번역 ― 국가권력, 자본, 문학의 구조적 상관성을 중심으로

Formation of Translation Champ and Translation of Literature in the 1950’s ― Focusing on the relativity of the government power, capital, literature structure

대동문화연구 | 79 | 2012 | 기타인문학

1950년대 주한 미공보원의 기록영화와 미국의 이미지 구축

Documentary Films of the USIS Korea in the 1950s for Constructing American Images

한국언론학보 | 56 | 1 | 2012 | 신문방송학

냉전시대 미국의 민족국가 형성 개입과 헤게모니 구축의 최전선 : 주한미공보원 영화

The Intervention of the United States in the Formation of the Nation-State and the Frontline in Terms of the Establishment of Hegemony During the Cold War Era: With a special focus on the films produced by the United States Information Service in Korea

한국사연구 | 155 | 2011 | 역사학

냉전체제와 내셔널 시네마의 혼종적 원천 -<죽엄의 상자> 등 김기영의 미공보원(USIS) 문화영화를 중심으로-

Cold War and the Hybrid Ursprung of South Korean National Cinema -On 'Boxes of Death' and Kim Ki-Young's USIS Public Information Films-

영화연구 | 47 | 2011 | 영화

주한미국공보원(USIS) 영화선전의 표상과 담론 ― 1950년대, 국가 재건과 자립 한국인의 주체성 ―

(Re)Presentations and Discourses in the USIS-Korea’s Film Propaganda ― The Rehabilitated Self in Rebuilding the Nation in the 1950s ―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95 | 2012 | 사회학

한국전쟁기 주한 미국공보원의 선전 정책

A Study of the Propaganda Policy of the United States Information Service in Korea during the Korean War

군사 | 76 | 2010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