칸트

연구분야 : A030400 인문학 > 철학 > 서양철학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2257

STNet ID : 1000920

한자 :
독일어 : Kant, Immanuel
기타 : I. Kant
독일어 : Kant

y01-01 실존인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임마누엘 칸트 [Immanuel Kant]

R1:개념적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마르쿠제 [Marcuse, Herbert]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장 프랑수아 리오타르 [Lyotard, Jean Francois]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칼 오토 아펠 [Apel, Karl-Otto]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R] 찰스 퍼스 -> 129387 ()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쇼펜하우어 () [Schopenhauer, Arthur]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폴켈트 [Volkelt, Johannes]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존 맥도웰 (1942-) [McDowell, John]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짐멜 () [Simmel, Georg]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마티노 [Martineau, James]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야스퍼스 () [Jaspers, Karl Theodor]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오토 [Otto, Rudolf]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프랜시스 허버트 브래들리 [Bradley, Francis Herbert]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데렉 파핏 [Parfit, Derek]

isAffectedBy (영향요인)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조지 버클리

isAffectedBy (영향요인)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크루지우스 [Crusius, Christian August]

isAffectedBy (영향요인)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범애주의 [ 汎愛主義 ]

isAffectedBy (영향요인)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알렉산더 바움가르텐 [Baumgarten, Alexander Gottlieb]

isConceptuallyRelatedTo (개념적부분)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반성적 판단력 () [ 反省的判斷力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존 롤즈 [Rawls, John]

RT (관련어)

 

c01-02 기질/품질/형질/성향 기질/품질/형질/성향

예술미 [ 藝術美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브렌타노 [Brentano, Franz]

RT (관련어)

 

y02-01 문헌명 문헌명

백과전서 [ 百科全書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피히테 [Fichte, Johann Gottlieb]

RT (관련어)

관련인물

a01-07 준인간 준인간

물신 () [ 物神 ]

RT (관련어)

관련인물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모리츠 가이거 [Geiger, Moritz]

RT_Y (◄관련어)

관련 인물

c01-02 기질/품질/형질/성향 기질/품질/형질/성향

경향성 [ 傾向性 ]

RT_Y (◄관련어)

관련 인물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로이 우드 셀라스 (1880-1973) [Sellars, Roy Wood]

RT_Y (◄관련어)

관련인물

c01-04 능력/힘/에너지 능력/힘/에너지

판단력 [ 判斷力 ]

R2:기능적

advocates (주창 대상)

 

c02-01 감정 감정

도덕 감정 () [ 道德感情 ]

hasOpposition (대항/억제)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슐체 [Schulze, Gottlob Ernst]

현대 숭고 개념의 헤겔적 기원 연구

Untersuchung zum Hegelschen Ursprung des gegenwärtigen Begriffs des Erhabenen

미학예술학연구 | 35 | 2012 | 기타예술체육

탈신체적 로고스에서 신체적 에토스로: 몸의 수사학

From Disembodied Logos to Embodied Ethos: The Rhetoric of Body

수사학 | 16 | 2012 | 기타인문학

데카르트의 정념론과 그 이후

Cartesian Problematics of Passions

기호학 연구 | 28 | 2010 | 언어학

데카르트의 정념론과 그 이후

Cartesian Problematics of Passions

기호학 연구 | 28 | | 2010 | 언어학

숭고 이미지의 예술철학적 의미

Die kunstphilosophische Bedeutung der erhabenen Image

인문학연구 | 41 | 2011 | 기타인문학

예술과 도덕: 오우크쇼트 ‘시적 상상’ 개념의 교육학적 함의

Art and Morality: Oakeshott's Concept of 'Poetic Imagination' and Its Implications

도덕교육연구 | 23 | 2 | 2011 | 교육학

근대 독일 철학자의 대립적 불교 이해와 수용

Das gegensätzliche Verstehen und die Rezeption des Buddhismus unter den deutschen Denkern

헤겔연구 | 29 | 2011 | 철학

도덕교과에서 다문화 교육의 윤리학적 정초

Ethical Foundations of Multicultural Education

윤리교육연구 | 21 | 2010 | 윤리교육학

도덕교과에서 다문화 교육의 윤리학적 정초

Ethical Foundations of Multicultural Education

윤리교육연구 | | 21 | 2010 | 윤리교육학

“철학자들의 신”의 죽음. 그 의미와 전망

Tod des "Philosophen-Gottes" - Dessen Bedeutung und Perspektive

가톨릭신학 | 18 | 2011 | 가톨릭신학

Kant on Form and Content in Cognition: A Reply to McDowell

철학∙사상∙문화 | 10 | 2010 | 기타인문학

Kant on Form and Content in Cognition: A Reply to McDowell

철학∙사상∙문화 | | 10 | 2010 | 기타인문학

메타프락시스로서의 메타피직스: 교육이론의 성격

Metaphysics as "Metapraxis" : an Study on the Nature of Educational Theory

도덕교육연구 | 24 | 1 | 2012 | 교육학

공화국 원리의 함의에 대한 이념사적 고찰* -고전적 공화주의 이론의 유형화와 그 법적 구체화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Eine ideengeschichtliche Studie möglicher Implikationen des verfassungsrechtlichen Republik-Prinzips – konzentriert auf die Korrespondenz zwischen möglichen Typen des klassischen Republikanismus und der jeweiligen dogmatischen Verständnisse des verfassungsrechtlichen Republik-Prinzips

법학연구 | 21 | 2 | 2011 | 기타법학

‘진화가설’ 비판 - 칸트의 ‘전도된 이성’(perversa ratio)의 오류 비판을 중심으로

Critique of ‘Hypothesis of Evolution’ - From the viewpoint of 'Dialectic of Human Reason' by Immanuel Kant

칸트연구 | 25 | 2010 | 철학

‘진화가설’ 비판 - 칸트의 ‘전도된 이성’(perversa ratio)의 오류 비판을 중심으로

Critique of ‘Hypothesis of Evolution’ - From the viewpoint of 'Dialectic of Human Reason' by Immanuel Kant

칸트연구 | | 25 | 2010 | 철학

칸트의 미적 상상력에 대한 고찰

A Study in Kant’s Notion of Aesthetic Imagination

미학예술학연구 | 31 | 2010 | 기타예술체육

도덕의 본성에 관한 형이상학적 고찰 -일원론적 도덕 형이상학의 정립은 가능한가?-

A Metaphysical Consideration of the Nature of Morality —Monism or Dualism?—

철학사상 | 38 | 2010 | 철학

도덕의 본성에 관한 형이상학적 고찰 -일원론적 도덕 형이상학의 정립은 가능한가?-

A Metaphysical Consideration of the Nature of Morality —Monism or Dualism?—

철학사상 | | 38 | 2010 | 철학

‘절대의 마음’에 대한 동서사유의 비교 ─유식과 여래장사상 그리고 칸트와 독일관념론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Examination of Eastern and Western Thoughts Concerning ‘The Absolute Mind’

불교학연구 | 30 | 2011 | 불교학

칸트 종교철학의 현대적 의의

Science and Religion - Critique of ‘Consilience’ and the Way to Moral Religion

철학∙사상∙문화 | 14 | 2012 | 기타인문학

프로문학의 정치적 상상력 : 김남천 문학에 나타난 ‘칸트적인 것’들

Political Imagination of Korean Proletarian Literature : Kantian Ethics in Kim Nam-Cheon's Literature

민족문학사연구 | 45 | 2011 | 한국어와문학

니체의 도덕 심리학적 도덕 비판

Nietzsche’s Moral Psychology as a critique of morality

니체연구 | 21 | 2012 | 철학

칸트의 미학적 자연관 연구

A Study on the View of Aesthetic Nature in Kant’s Philosophy

도덕윤리과교육 | 35 | 2012 | 교육학

시선의 미학: 시선에 관한 현상학적 반성

Aesthetics of the Seeing-in the Phenomenological Reflection to the Seeing

철학연구 | 89 | 2010 | 철학

시선의 미학: 시선에 관한 현상학적 반성

Aesthetics of the Seeing-in the Phenomenological Reflection to the Seeing

철학연구 | | 89 | 2010 | 철학

숭고의 탈경계성 - 김유정 소설의 ‘아내 팔기’ 모티프를 중심으로 -

Trans-boundaries of the Sublime - Focused on the motif of ‘selling wife’ in the novel of Kim, Yu-Jeong-

한국문예비평연구 | 38 | 2012 | 한국어와문학

헤겔 철학에서 양심의 의미와 위상

Die Deutung und der Status des Gewissens bei G.W.F. Hegel

윤리교육연구 | 24 | 2011 | 윤리교육학

분석성 개념과 철학의 임무

The Notion of Analyticity and the Task of Philosophy

범한철학 | 57 | 2 | 2010 | 철학

분석성 개념과 철학의 임무

The Notion of Analyticity and the Task of Philosophy

범한철학 | 57 | 2 | 2010 | 철학

선험적 인식론과 교과의 내면화

Transcendental Epistemology and the Internalization of School Subject-Matter

교육철학연구 | 34 | 1 | 2012 | 교육학

모종삼의 양명학 연구에 관한 비판적 검토

A critic on Mo Zong San's view of Yangming study

철학논집 | 29 | 2012 | 철학

톨스토이와 도스토예프스키: 인간 고통의 두 양상

Tolstoy and Dostoevsky: Two aspects of human suffering

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 | 36 | 2011 | 러시아어와문학

왜 우리는 환경을 보호해야 하는가?

Why Should We Preserve Our Environment?

통일인문학 | 50 | 2010 | 기타인문학

왜 우리는 환경을 보호해야 하는가?

Why Should We Preserve Our Environment?

통일인문학 | 50 | | 2010 | 기타인문학

통섭 비판-칸트의 ‘이성비판’의 관점에서

Critique of Consillience-In the perspective of ‘Critique of pure reason’

인문과학연구논총 | 32 | 2011 | 기타인문학

그리스-로마 문화의 "카리스", 데리다의 불가능한 선물, 그리고 로마서의 "카리스"

Ca,rij in Graeco-Roman Culture, Impossibility of gift by Derrida and ca,rij in Romans

신약연구 | 10 | 2 | 2011 | 신약학

유럽 국제평화의 기획-세력균형, 국제연맹, 유럽통합의 비교-

International Peace Systems in Europe: Comparative Analysis on Balance of Power, League of Nations and European Integration

서양사론 | 108 | 2011 | 역사학

한용운의 근대 인식과 서양철학 이해

Han, Yong-Un's Modern Perception and Understanding of Western Philosophy

한국민족문화 | 39 | 2011 | 기타인문학

전병훈 도덕철학연구− 전통과 현대의 관점에서 −

The Study of Cheon, Byeong Hun's Moral Philosophy-in the view of traditional and modern

동양철학연구 | 62 | 2010 | 철학

전병훈 도덕철학연구− 전통과 현대의 관점에서 −

The Study of Cheon, Byeong Hun's Moral Philosophy-in the view of traditional and modern

동양철학연구 | | 62 | 2010 | 철학

작동 개념으로서의 선험성 - 칸트와 후설의 경우

Transcendentality as an Operative Concept - Kant's and Husserl's Cases

칸트연구 | 25 | 2010 | 철학

작동 개념으로서의 선험성 - 칸트와 후설의 경우

Transcendentality as an Operative Concept - Kant's and Husserl's Cases

칸트연구 | | 25 | 2010 | 철학

Eine politikphilosophische Interpretation ueber die ‘Kerzenversammlung’ - Kant gegen Konfuzius -

‘촛불집회’에 관한 정치철학적 고찰 - 칸트와 공자를 중심으로 -

칸트연구 | 25 | 2010 | 철학

Eine politikphilosophische Interpretation ueber die ‘Kerzenversammlung’ - Kant gegen Konfuzius -

‘촛불집회’에 관한 정치철학적 고찰 - 칸트와 공자를 중심으로 -

칸트연구 | | 25 | 2010 | 철학

덕성교육의 이해적 접근

An Understanding Approach to Character Education

교육철학연구 | 34 | 2 | 2012 | 교육학

떼브나즈의 절대자 없는 철학: 인간적 조건의 해석학의 정초

Une Philosophie sans Absolu: L’élaboration de l’Herméneutique de la Condition Humaine

해석학연구 | 26 | 2010 | 철학

떼브나즈의 절대자 없는 철학: 인간적 조건의 해석학의 정초

Une Philosophie sans Absolu: L’élaboration de l’Herméneutique de la Condition Humaine

해석학연구 | | 26 | 2010 | 철학

칸트와 근원적 공유(communio originaria)의 문제 ― 소유권의 근거문제와 자연 상태에서의 공유 ―

Kant und das Problem der “communio originaria”

철학 | 110 | 2012 | 철학

칸트 도덕철학의 자율적 자유 개념의 루소적 기원

Rousseauistic origin of Kant's theory of Freedom.

철학연구 | 116 | 2010 | 철학

칸트 도덕철학의 자율적 자유 개념의 루소적 기원

Rousseauistic origin of Kant's theory of Freedom.

철학연구 | 116 | | 2010 | 철학

존 맥도웰의 도덕적 제 이의 천성: 무엇이 문제인가?

John McDowell’s Second-nature Theory: What Is Its Problems?

철학연구 | 94 | 2011 | 철학

Sublime et verticalité : le motif de la montagne dans la poésie française contemporaine

숭고와 수직: 현대 프랑스 시에 나타나는 산의 모티프

불어문화권연구 | 21 | 2011 | 프랑스어와문학

칸트의 『새로운 해명』에서 동일성과 모순의 문제 - 칸트 전비판기 철학에 대한 한 연구 -

Das Problem der Identität und des Widerspruchs in Nova Dilucidatio - Eine Untersuchung über die vorkritische Philosophie Kants -

칸트연구 | 27 | 2011 | 철학

실재론과 대응 - 도널드 데이빗슨의 변심을 중심으로

Realism and Correspondence - What we can learn from D. Davidson’s change of mind

근대 철학 | 7 | 2012 | 철학

칸트의 철학에 대한 쇼펜하우어의 비판

Die Kritik von Schopenhauer an der Kantischen Philosophie

칸트연구 | 27 | 2011 | 철학

자연미의 의미와 예술 - 칸트와 아도르노 미학을 중심으로 -

Die Bedeutung des Naturschönen und die Kunst -Im Zusammenhang mit der Ästhetik Kants und Adornos-

범한철학 | 61 | 2 | 2011 | 철학

상상의 도덕교육적 함의

Implication of the Idea of Imagination for Moral Education

도덕교육연구 | 23 | 2 | 2011 | 교육학

칸트 윤리학의 옹호 - 나종석의 비판에 대한 반론 -

Ein Versuch, Kants Ethik gegen die Kritik von Hegel zu verteidigen

헤겔연구 | 30 | 2011 | 철학

도가철학과 칸트의 심미성

Philosophical Taoism and Kant's the Aesthetic

철학논집 | 20 | 2010 | 철학

도가철학과 칸트의 심미성

Philosophical Taoism and Kant's the Aesthetic

철학논집 | 20 | | 2010 | 철학

양건식의 칸트철학 번역과 선택적 전유

A study on Translation and selective appropriation of Kant's philosophy by Yang Geon-sik

동양철학연구 | 66 | 2011 | 철학

근본악과 반사회적 사회성 - 칸트에 대한 우드(A. Wood)의 해석을 중심으로 -

Radikales Boese und ungesellige Geselligkeit - Eine kritische Betrachtung zur Interpretation Woods über Kant -

범한철학 | 59 | 4 | 2010 | 철학

근본악과 반사회적 사회성 - 칸트에 대한 우드(A. Wood)의 해석을 중심으로 -

Radikales Boese und ungesellige Geselligkeit - Eine kritische Betrachtung zur Interpretation Woods über Kant -

범한철학 | 59 | 4 | 2010 | 철학

헤겔의 자유주의 비판

Hegels Kritik des Liberalismus

헤겔연구 | 31 | 2012 | 철학

예술은 철학이 되었는가? 칸트와 단토를 중심으로

Ist die Kunst zur Philosophie geworden? - in Bezug auf Kants Ästhetik und Dantos Kunstphilosophie

칸트연구 | 29 | 2012 | 철학

모종삼의 주희 비판과 그에 대한 재평가

The Recritic of Mo Zong San’s Criticism of Zhu Xi

철학사상 | 37 | 2010 | 철학

모종삼의 주희 비판과 그에 대한 재평가

The Recritic of Mo Zong San’s Criticism of Zhu Xi

철학사상 | | 37 | 2010 | 철학

인권의 현대적 역설 :롤즈의 민주적 평화론에서 인권

John Rawls on Human Rights

철학 | 112 | 2012 | 철학

평화의 어려움

Hazard of Peace

대동철학 | 51 | 2010 | 철학

평화의 어려움

Hazard of Peace

대동철학 | | 51 | 2010 | 철학

인권에 관한 철학적 성찰-칸트의 경우

Menschenrecht bei Kant

철학연구 | 92 | 2011 | 철학

공공성(公共性)의 역사철학 - 칸트 역사철학에 대한 하나의 해석

A Philosophy of History of Public Sphere - An Interpretation of Kant's Philosophy of History

칸트연구 | 26 | 2010 | 철학

공공성(公共性)의 역사철학 - 칸트 역사철학에 대한 하나의 해석

A Philosophy of History of Public Sphere - An Interpretation of Kant's Philosophy of History

칸트연구 | | 26 | 2010 | 철학

후기 비트겐슈타인과 칸트 - 메러디스 윌리엄스에 대한 비판 -

The later Wittgenstein and Kant - The Critical Review on Meredith Williams' View -

철학논집 | 22 | 2010 | 철학

후기 비트겐슈타인과 칸트 - 메러디스 윌리엄스에 대한 비판 -

The later Wittgenstein and Kant - The Critical Review on Meredith Williams' View -

철학논집 | 22 | | 2010 | 철학

모종삼의 칸트비판은 정당한가?

Is Mou Zongsan’s criticism of Kant right?

가톨릭철학 | 14 | 2010 | 철학

모종삼의 칸트비판은 정당한가?

Is Mou Zongsan’s criticism of Kant right?

가톨릭철학 | | 14 | 2010 | 철학

프리드리히 하인리히 야코비의 이성 비판과 헤겔 철학에 대한 영향

Friedrich Heinrich Jacobi’s Critique of Reason and Effect on Hegel’s Philosophy

헤겔연구 | 28 | 2010 | 철학

프리드리히 하인리히 야코비의 이성 비판과 헤겔 철학에 대한 영향

Friedrich Heinrich Jacobi’s Critique of Reason and Effect on Hegel’s Philosophy

헤겔연구 | | 28 | 2010 | 철학

도덕에 있어서 자율성과 감정의 역할 - 순자와 칸트의 비교 -

Roles of autonomy and emotion in morality - Comparison between Xunzi and Kant -

철학논집 | 23 | 2010 | 철학

도덕에 있어서 자율성과 감정의 역할 - 순자와 칸트의 비교 -

Roles of autonomy and emotion in morality - Comparison between Xunzi and Kant -

철학논집 | 23 | | 2010 | 철학

하이데거의 기초존재론과 자기의식의 문제: 칸트의 자기의식 이론 및 헨리히의 칸트 비판과 관련해서

Heideggers Fundamentalontologie und das Problem des Selbstbewußtseins: Im Zusammenhang mit Kants Selbstbewußtseinstheorie und Henrichs Kantkritik

철학연구 | 91 | 2010 | 철학

하이데거의 기초존재론과 자기의식의 문제: 칸트의 자기의식 이론 및 헨리히의 칸트 비판과 관련해서

Heideggers Fundamentalontologie und das Problem des Selbstbewußtseins: Im Zusammenhang mit Kants Selbstbewußtseinstheorie und Henrichs Kantkritik

철학연구 | | 91 | 2010 | 철학

칸트의 미학에 대한 가다머의 비판

Gadamers Kritik ueber Kants Aesthetik

칸트연구 | 25 | 2010 | 철학

칸트의 미학에 대한 가다머의 비판

Gadamers Kritik ueber Kants Aesthetik

칸트연구 | | 25 | 2010 | 철학

눈이 눈을 볼 수 있는가? - 원측의 유식과 칸트의 초월적 관념론의 비교 -

Can an Eye See the Eye? - A Comparative Study on the ‘Consciousness Only’(Yusik) of Won-Cheuk and the Transcendental Idealism of Kant -

불교학보 | 62 | 2012 | 기타불교학

Soziale Verantwortung im Kantischen Begriff der Mündigkeit - unter besonderer Berücksichtigung des Vernunftsbegriffs

칸트의 성숙함의 개념에서 사회적 책임의 의미- 칸트의 이성개념을 중심으로

교육의 이론과 실천 | 16 | 3 | 2011 | 교육철학/사상

피론주의와 헤겔의 사변 철학 -비판 철학과 사변 철학의 방법론을 중심으로-

Hegel and Pyrrhonism

헤겔연구 | 30 | 2011 | 철학

칸트 도덕철학에 대한 모종삼의 이해 문제

Mou Zongsan on Kant's Moral Philosophy

철학논집 | 29 | 2012 | 철학

칸트의 ‘경제적인’ 코즈모폴리터니즘과 데리다의 ‘비경제적인’ 코즈모폴리터니즘 ‘너머’의 비교 연구

A Study on Kant’s ‘economic’ Cosmopolitanism and Derrida’s ‘aneconomic’ ‘Beyond’ Cosmopolitanism

비평과이론 | 16 | 2 | 2011 | 영어와문학

법의 자기정당화의 위기-아감벤의 칸트 법개념 비판을 중심으로-

Die Krise in der Selbstrechtfertigung des Rechts-Im Hinblick auf Agamben’s Kritik an Kant’s Rechtsbegriff-

법학논총 | 27 | 3 | 2010 | 법학

법의 자기정당화의 위기-아감벤의 칸트 법개념 비판을 중심으로-

Die Krise in der Selbstrechtfertigung des Rechts-Im Hinblick auf Agamben’s Kritik an Kant’s Rechtsbegriff-

법학논총 | 27 | 3 | 2010 | 법학

시간과 초월로서의 현존재 -칸트의 시간 개념에 대한 하이데거의 이해와 그 존재론적 의의에 관한 소고-

Time and ‘Dasein’ as a Transcendence: Heidegger’s Understanding of the Kantian Notion of Time and Its Ontological Meaning

현상학과 현대철학 | 50 | 2011 | 철학

눌인(訥人) 김환태 비평 연구

A study of criticism of Nul-in Kim, Hwan-tae

인문학연구 | 42 | 2011 | 기타인문학

행복의 방법에의 현상학적 모색 -쇼펜하우어의 현상학적 행복론을 되새기며-

Phaenomenologischer Eudaimonismus: Schopenhauer und eine Untersuchung ueber die Methode fuer die Glueckseligkeit

현상학과 현대철학 | 49 | 2011 | 철학

자연교육과 도덕교육: 루소와 칸트

Natural education and moral education : Rousseau & Kant

도덕교육연구 | 22 | 1 | 2010 | 교육학

자연교육과 도덕교육: 루소와 칸트

Natural education and moral education : Rousseau & Kant

도덕교육연구 | 22 | 1 | 2010 | 교육학

소크라테스의 비극과 해소 - 칸트의 합법성 또는 헤겔의 인륜성을 통해

Die Tragödie des Sokrates und deren Auflösung- durch die kants Legalität oder die hegels Sittlichkeit

철학연구 | 121 | 2012 | 철학

칸트와 도덕 법칙에 대한 의식

Kant und das Bewusstsein uebers moralische Gesetz

칸트연구 | 27 | 2011 | 철학

칸트의 덕과 덕-감정

Kant's Virtue and Virtue-Emotion

칸트연구 | 28 | 2011 | 철학

칸트 윤리학에서 실천 명제의 논리적 형식

Logical forms of the practical thesis in Kant's ethics

철학논집 | 25 | 2011 | 철학

칸트 정치철학의 현대적 단초들

The Clues to Modernity of Kant's Political Philosophy

칸트연구 | 27 | 2011 | 철학

보편적인 도덕발달론의 정초 가능성에 대한 논의

Discourse on the possibility of universal moral development theory

철학연구 | 120 | 2011 | 철학

칸트의 실천이성 이론과 에벨링의 기초화용론적 변형 - 칸트의 정언명법에 대한 에벨링의 기초화용론적 정초를 중심으로 -

Kants Lehre von der praktischen Vernunft und Ebelings fundamentalpragmatische Transformation - In der Fokussierung auf Ebelings fundamentalpragmatische Begründung von Kants kategorischem Imperativ -

칸트연구 | 26 | 2010 | 철학

칸트의 실천이성 이론과 에벨링의 기초화용론적 변형 - 칸트의 정언명법에 대한 에벨링의 기초화용론적 정초를 중심으로 -

Kants Lehre von der praktischen Vernunft und Ebelings fundamentalpragmatische Transformation - In der Fokussierung auf Ebelings fundamentalpragmatische Begründung von Kants kategorischem Imperativ -

칸트연구 | | 26 | 2010 | 철학

콜버그의 윤리상대주의 비판과 도덕교육의 과제

Kohlberg’s critic of ethical relativism and the task of moral education

범한철학 | 63 | 4 | 2011 | 철학

숭고의 존재론-칸트 숭고론의 탈(반)칸트적 해석-

Ontology of the Sublime: Post(anti)-kantian Interpretation of Kant’s theory of Sublime

시대와 철학 | 22 | 1 | 2011 | 철학

칸트와 그리스도교 종말론

Kant und die Christliche Eschatologie

칸트연구 | 26 | 2010 | 철학

칸트와 그리스도교 종말론

Kant und die Christliche Eschatologie

칸트연구 | | 26 | 2010 | 철학

칸트 『법이론』텍스트 연구

Ueber den Kantischen Text ‘Rechtslehre’

칸트연구 | 28 | 2011 | 철학

The Ecosophical Import of Kant’s Aesthetic Experience

철학논총 | 67 | 1 | 2012 | 철학

욕망과 정념을 중심으로 본 칸트와 헤겔의 차이

The Difference between Kant and Hegel in Relation to the Concept of Desire and Passion

범한철학 | 59 | 4 | 2010 | 철학

욕망과 정념을 중심으로 본 칸트와 헤겔의 차이

The Difference between Kant and Hegel in Relation to the Concept of Desire and Passion

범한철학 | 59 | 4 | 2010 | 철학

인식과 놀이 ― 칸트의 놀이 개념을 중심으로

Erkenntnis und Spiel ― zum Begriff 'Spiel' bei Kant

대동철학 | 53 | 2010 | 철학

인식과 놀이 ― 칸트의 놀이 개념을 중심으로

Erkenntnis und Spiel ― zum Begriff 'Spiel' bei Kant

대동철학 | | 53 | 2010 | 철학

초기 낭만주의와 무한한 접근의 철학

Philosophie der unendlichen Annäherung

철학연구 | 117 | 2011 | 철학

이율배반: 칸트 비판 철학의 근본 동기

Antinomy: The Fundamental Motive of Kant's Critical Philosophy

칸트연구 | 26 | 2010 | 철학

이율배반: 칸트 비판 철학의 근본 동기

Antinomy: The Fundamental Motive of Kant's Critical Philosophy

칸트연구 | | 26 | 2010 | 철학

이성과 실존 사이에서의 윤리학 ― 칸트의 목적의 왕국 및 실천이성의 요청에서 에벨링의 이상적 의미차원으로 ―

Ethik zwischen Vernunft und Existenz ― Von Kants Reich der Zwecke and Postulate der praktischen Vernunft zu Ebelings idealer Sinndimension ―

철학논총 | 67 | 1 | 2012 | 철학

칸트에서 ‘가능한 세계의 최고선’

Kant on ‘the Highest Good of a Possible World’

철학연구 | 96 | 2012 | 철학

칸트의 자율과 타율

Die Autonomie und die Heteronomie bei Kant

칸트연구 | 26 | 2010 | 철학

칸트의 자율과 타율

Die Autonomie und die Heteronomie bei Kant

칸트연구 | | 26 | 2010 | 철학

Domesticating a Philosophical Fiction - Chinese Translations of Immanuel Kant's "Things in Themselves" -

철학적 허구의 자국화 —임마누엘 칸트의“물(物)자체”에 관한 중국학자들의 해석—

개념과 소통 | 7 | 2011 | 역사학

칸트가 제시한 평화에로의 길: 주체적인 삶

The Path to the Peace Suggested by Kant: The Subjective Life

대동철학 | 51 | 2010 | 철학

칸트가 제시한 평화에로의 길: 주체적인 삶

The Path to the Peace Suggested by Kant: The Subjective Life

대동철학 | | 51 | 2010 | 철학

칸트와 ‘행복한 자선가’

Kant and ‘the Happy Philanthropist’

범한철학 | 56 | 1 | 2010 | 철학

칸트와 ‘행복한 자선가’

Kant and ‘the Happy Philanthropist’

범한철학 | 56 | 1 | 2010 | 철학

칸트의 영구평화론: 관점과 적용

Kant's Perpetual Peace and Its Viewpoint and application

대동철학 | 51 | 2010 | 철학

칸트의 영구평화론: 관점과 적용

Kant's Perpetual Peace and Its Viewpoint and application

대동철학 | | 51 | 2010 | 철학

범주의 초월적 연역(B)은 어떤 논증인가?

Was für ein Argument ist die transzendentale Deduktion der Kategorien(B)?

칸트연구 | 25 | 2010 | 철학

범주의 초월적 연역(B)은 어떤 논증인가?

Was für ein Argument ist die transzendentale Deduktion der Kategorien(B)?

칸트연구 | | 25 | 2010 | 철학

칸트의 이성 신앙에 관한 연구: 꿈꾸는 자유, 그리고 종교의 존재 이유에 관해서

Kant's Fantasy : Reason Religion as Representation of Freedom

종교문화비평 | 21 | 21 | 2012 | 종교학

실천이성비판과 논어에 있어서 도덕적 동기에 대한 연구

Eine Untersuchung ueber die moralische Triebfeder in der Kritik der praktischen Vernunft und dem Lunyu

칸트연구 | 25 | 2010 | 철학

실천이성비판과 논어에 있어서 도덕적 동기에 대한 연구

Eine Untersuchung ueber die moralische Triebfeder in der Kritik der praktischen Vernunft und dem Lunyu

칸트연구 | | 25 | 2010 | 철학

『순수이성비판』에서 「관념성의 오류추리 비판」과 「관념론 반박』 간의 정합적 해석

The Coherent interpretation between "Critique of Paralogism of Ideality" and "Refutation of Idealism" in the Critique of Pure Reason

철학논집 | 21 | 2010 | 철학

『순수이성비판』에서 「관념성의 오류추리 비판」과 「관념론 반박』 간의 정합적 해석

The Coherent interpretation between "Critique of Paralogism of Ideality" and "Refutation of Idealism" in the Critique of Pure Reason

철학논집 | 21 | | 2010 | 철학

칸트철학에서 ‘선험적’과 ‘초월적’의 개념 그리고 번역어 문제

Kant’s Concepts of ‘a priori’ and ‘transcendental’, and the Problem of their Translation into Korean

칸트연구 | 25 | 2010 | 철학

『실천이성비판』의 “도덕 법칙의 시선”과 『대학』의 ‘열 눈과 열 손가락’에 대한 연구

Eine Untersuchung ueber “Anblicke der moralischen Gesetze” in der Kritik der praktischen Vernunft und 'zehn Augen und Finger' in dem Daxue

철학논총 | 61 | 3 | 2010 | 철학

『실천이성비판』의 “도덕 법칙의 시선”과 『대학』의 ‘열 눈과 열 손가락’에 대한 연구

Eine Untersuchung ueber “Anblicke der moralischen Gesetze” in der Kritik der praktischen Vernunft und 'zehn Augen und Finger' in dem Daxue

철학논총 | 61 | 3 | 2010 | 철학

쾨니히스베르그의 위대한 중국인과 老莊의 어색한 만남

哥尼斯堡城的伟大的中国人与老庄的尴尬会面

동양철학연구 | 61 | 2010 | 철학

쾨니히스베르그의 위대한 중국인과 老莊의 어색한 만남

哥尼斯堡城的伟大的中国人与老庄的尴尬会面

동양철학연구 | | 61 | 2010 | 철학

인간의 ‘근본악’에 대한 고찰 ― 칸트의 ‘근본악’ 개념과 옐리넥의 『피아노 치는 여자』를 중심으로

Eine Betrachtung über ‘das radikale Böse’ in der menschlichen Natur ― Im Kontext vom kantischen Begriff ‘das radikale Böse’ und Die Klavierspielerin von Elfriede Jelinek

독어독문학 | 51 | 4 | 2010 | 독일어와문학

인간의 ‘근본악’에 대한 고찰 ― 칸트의 ‘근본악’ 개념과 옐리넥의 『피아노 치는 여자』를 중심으로

Eine Betrachtung über ‘das radikale Böse’ in der menschlichen Natur ― Im Kontext vom kantischen Begriff ‘das radikale Böse’ und Die Klavierspielerin von Elfriede Jelinek

독어독문학 | 51 | 4 | 2010 | 독일어와문학

칸트의 [실천이성비판]의 적법성과 도덕성 개념의 시각에서 본 [논어]에 대한 이해

Eine Verstaendnis fuers Lunyu unter dem Gesichtspunkt der Begriffe von Legalitaet und Moralitaet in der Kritik der praktischen Vernunft

범한철학 | 58 | 3 | 2010 | 철학

칸트의 [실천이성비판]의 적법성과 도덕성 개념의 시각에서 본 [논어]에 대한 이해

Eine Verstaendnis fuers Lunyu unter dem Gesichtspunkt der Begriffe von Legalitaet und Moralitaet in der Kritik der praktischen Vernunft

범한철학 | 58 | 3 | 2010 | 철학

칸트의 순수이성비판에 대한 하이데거의 현상학적 해석

Heideggers Phaenomenologische Interpretation von Kants “Kritik der reinen Vernunft”

해석학연구 | 25 | 2010 | 철학

칸트의 순수이성비판에 대한 하이데거의 현상학적 해석

Heideggers Phaenomenologische Interpretation von Kants “Kritik der reinen Vernunft”

해석학연구 | | 25 | 2010 | 철학

피론주의와 칸트의 비판 철학

Kant and Pyrrhonism

철학 | 103 | 2010 | 철학

피론주의와 칸트의 비판 철학

Kant and Pyrrhonism

철학 | | 103 | 2010 | 철학

칸트의 실체와 <제1유추>

Kant’s Substance and the First Analogy

철학사상 | 35 | 2010 | 철학

칸트의 실체와 <제1유추>

Kant’s Substance and the First Analogy

철학사상 | | 35 | 2010 | 철학

칸트, 헤르더, 낭만주의 ― 인류 역사의 철학과 인간성의 이상 ―

Kant, Herder, und die Romantik ― Die Philosophie der Geschichte der Menschheit und das Ideal der Humanita¨t ―

인간연구 | 18 | 2010 | 철학

칸트, 헤르더, 낭만주의 ― 인류 역사의 철학과 인간성의 이상 ―

Kant, Herder, und die Romantik ― Die Philosophie der Geschichte der Menschheit und das Ideal der Humanita¨t ―

인간연구 | | 18 | 2010 | 철학

『실천이성비판』의 자기 사랑의 단절 의미로 읽어본 『맹자』의 사단(四端)

Eine Verstaendnis fuer die Si Dan(四端) in dem Mengtzu unter dem Gesichtspunkt der Bedeutung des Abbruchs der Selbstliebe in der Kriktik der praktischen Vernunft

철학연구 | 116 | 2010 | 철학

『실천이성비판』의 자기 사랑의 단절 의미로 읽어본 『맹자』의 사단(四端)

Eine Verstaendnis fuer die Si Dan(四端) in dem Mengtzu unter dem Gesichtspunkt der Bedeutung des Abbruchs der Selbstliebe in der Kriktik der praktischen Vernunft

철학연구 | 116 | | 2010 | 철학

칸트의 인식론적 이원론에 대한 헤겔의 비판

Hegels Kritik am erkenntnistheoretischen Dualismus von Kant

헤겔연구 | 29 | 2011 | 철학

칸트 도덕철학의 관점에서 바라본 포스트휴먼

Posthuman in Kant’s Moral Philosophical Perspective

서강인문논총 | 32 | 2011 | 기타인문학

칸트의 영구평화론과 조영식의 오토피아평화론:세 수준의 이론적 분석

Kant's Perpetual Peace and Young Seek Choue's Oughtopian Peace Theory:A Three-Level Analysis

아태연구 | 17 | 2 | 2010 | 사회과학일반

칸트의 영구평화론과 조영식의 오토피아평화론:세 수준의 이론적 분석

Kant's Perpetual Peace and Young Seek Choue's Oughtopian Peace Theory:A Three-Level Analysis

아태연구 | 17 | 2 | 2010 | 사회과학일반

칸트와 회페의 ‘세계공화국(Weltrepublik)’ 개념에 대한 일고찰 : 동북아시아의 대안적 지식 생산을 위한 하나의 시도

On World Republic (Weltrepublik): Toward Production of Alternative Knowledge for Northeast Asia

Oughtopia (오토피아) | 27 | 1 | 2012 | 기타정치외교학

공공권에서의 ‘언어라는 장벽’: 칸트의 문제제기

The Barrier of Language in Public Space: A Kantian Problematic

정치사상연구 | 17 | 1 | 2011 | 정치외교학

리쾨르가 본 칸트- 악의 문제를 중심으로

Kant and Ricoeur's philosohpy of religion, surrounding the problem of evil

신학사상 | 155 | 2011 | 기독교신학

직관-기호-개념 -사유의 체계론적 관점에서 본 기호의 위치-

Anschauung-Zeichen-Begriff -Zeichen-Ort in der logischen Systematik des Denkens-

시대와 철학 | 23 | 3 | 2012 | 철학

칸트의 행복 개념에 대한 고찰

On Kant's Conception of Happiness

대동철학 | 58 | 2012 | 철학

칸트에서 통각원칙의 분석성과 종합성: 순수이성비판에서 연역 해석의 문제(1)

Analyticity and Syntheticity of the Apperception Principle of Kant: The Problem of Interpretation of Transcendental Deduction in the Critique of Pure Reason (1)

철학논집 | 29 | 2012 | 철학

콜버그는 칸트주의자인가? ― 도덕발달의 철학과 도덕법의 철학 ―

Is Kohlberg a Kantian? ― The Philosophy of Moral Development and the Philosophy of Moral Law ―

철학 | 110 | 2012 | 철학

칸트 『유작』의 시발점: 합본 Ⅳ의 23개 ‘초기 낱장문서’ 문제를 중심으로

The ‘Starting-point’ in Kant’s Opus postumum: About 23 of the Early Leaves of the Ⅳth Fascicle

철학사상 | 37 | 2010 | 철학

칸트 『유작』의 시발점: 합본 Ⅳ의 23개 ‘초기 낱장문서’ 문제를 중심으로

The ‘Starting-point’ in Kant’s Opus postumum: About 23 of the Early Leaves of the Ⅳth Fascicle

철학사상 | | 37 | 2010 | 철학

칸트에 있어서 이성과 이념의 관계

The Relation between Reason and Idea by Kant

동서철학연구 | 65 | 2012 | 철학

영혼불멸의 믿음에 대한 칸트의 견해: 「모든 것들의 끝」을 중심으로

An Examination of Kant’s View of the Immortality of Soul in “The End of All Things”

철학연구 | 98 | 2012 | 철학

칸트철학의 교육사상사적 표현: 페스탈로찌, 헤르바르트, 프뢰벨

Kant and his Pedagogical Successors: Pestalozzi, Herbart, Froebel

도덕교육연구 | 23 | 1 | 2011 | 교육학

칸트의 교육문제: ‘강제 속에서 자유의 계발’

On Kant’s Pedagogical Problem: ‘Cultivation of the Freedom by Educational Force’

교육사상연구 | 26 | 2 | 2012 | 교육학

칸트의『판단력비판』에 있어서「색채」개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lor' Concept in I. Kant`s Critique of Judgment

한국색채학회논문집 | 24 | 2 | 2010 | 미술

칸트의『판단력비판』에 있어서「색채」개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lor' Concept in I. Kant`s Critique of Judgment

한국색채학회논문집 | 24 | 2 | 2010 | 미술

칸트의 공중(the public)과 그 공동체 회복

Kant's 'Public' and His Ideas for Community Building

언론과 법 | 11 | 1 | 2012 | 신문방송학

“살인을 했다면 그는 죽어야 한다” -칸트와 형법-

“Hat er aber gemordet, so muß er sterben” Kant und das Strafrecht

법철학연구 | 14 | 3 | 2011 | 법학

칸트의 영구평화론

“Zum ewigen Frieden” von Kant

법철학연구 | 14 | 1 | 2011 | 법학

칸트에 있어서 도덕적 구속력의 근거

The Ground for Moral Ought in Kant's Ethics

윤리교육연구 | 21 | 2010 | 윤리교육학

칸트에 있어서 도덕적 구속력의 근거

The Ground for Moral Ought in Kant's Ethics

윤리교육연구 | | 21 | 2010 | 윤리교육학

푸코의 칸트 해석 -「칸트 『인간학』에 대한 서문」과 『말과 사물』을 중심으로-

Foucault’s Interpretation of Kant -Based on “Introduction to Kant’s Anthropology” and The order of Things-

시대와 철학 | 23 | 3 | 2012 | 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