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안 단구

연구분야 : B160301 사회과학 > 지리학 > 자연지리학 > 지형학

클래스 : 자연적공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22696

한자 : 河岸段丘
영어 : river terrace

e04-03 자연적공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하성 단구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단구 [ 段丘 ]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하천 지형 () [ 河川地形 ]

N1:종류

hasKind (종류)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침식 단구 [ 侵蝕段丘 ]

hasKind (종류)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암석 단구 [ 岩石段丘 ]

N2:부분

hasBranch (분기/분과)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기후단구 [ 氣候段丘 ]

spatiallyIncludes (공간적 부분)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단구면 [ 段丘面 ]

spatiallyIncludes (공간적 부분)

 

e04-03 자연적공간 자연적공간

단구애 [ 段丘崖 ]

와이오밍 Grand Teton의 지형과 경관

The landforms and Landscape of Grand Teton in Wyoming of U.S.A.

한국사진지리학회지 | 21 | 1 | 2011 | 기타지리학

남한강유역 구석기유적의 지질고고학적 편년 연구 - 하안단구 관련 유적을 중심으로 -

Geoarchaeological Chronology of the Paleolithic Sites in the Namhan-River Basin

고고학 | 11 | 1 | 2012 | 역사학

홍천 내·외삼포리 구석기유적의 지질고고학적 연구

A Geoarcheological Research on Nae-Oesampori Paleolithic Site in Hongcheon County

인문과학연구 | 25 | 2010 | 기타인문학

홍천 내·외삼포리 구석기유적의 지질고고학적 연구

A Geoarcheological Research on Nae-Oesampori Paleolithic Site in Hongcheon County

인문과학연구 | | 25 | 2010 | 기타인문학

한국의 하안단구 연구

Researches on fluvial terraces in Korea

한국지형학회지 | 18 | 4 | 2011 | 지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