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북 학생

연구분야 : B020305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한국정치 > 북한정치/통일

클래스 : 인간(거주상황)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22721

한자 : 脫北學生
영어 : the escaping from North Korea students

a01-04-03 인간(거주상황)

성별

[성별구분없음]

연령

[연령구분없음]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2:부분

hasComponent (구성요소)

 

a01-02-02 인간(연령) 인간(연령)
a01-02-02 인간(연령) / a01-04-03 인간(거주상황) 인간(거주상황)

탈북 청소년 [ 脫北靑少年 ]

탈북학생이 고등학교 학생의 통일의식에 미친 영향 분석

An Empirical Research on Role of South Korean High School Students to make North Korea born students who defected from North Korea to comprehend unification of both Koreas

윤리교육연구 | 22 | 2010 | 윤리교육학

탈북학생이 고등학교 학생의 통일의식에 미친 영향 분석

An Empirical Research on Role of South Korean High School Students to make North Korea born students who defected from North Korea to comprehend unification of both Koreas

윤리교육연구 | | 22 | 2010 | 윤리교육학

탈북학생들을 위한 수학 보충학습에서 담론 속에 나타난 오류유형과 담론의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al Errors & Discourse in a Supplementary Class for the Migrant Students from North Korea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15 | 1 | 2012 | 교육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