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무지

연구분야 : A150207 인문학 > 영어와문학 > 영문학 > 현대영미시

클래스 : 예술작품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22974

STNet ID : 9005906

한자 : 荒蕪地
영어 : The Waste Land

y02-02 예술작품명

저작자

T. S. 엘리엇

시대1

근대 (近代)

장르/유형

시(詩) (詩)

저작년_t

1922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2:부분

hasComponent (구성요소)

 

 

천둥이 한 말

hasComponent (구성요소)

 

 

익사

hasComponent (구성요소)

 

 

불의 설교

hasComponent (구성요소)

 

 

체스 놀이

hasComponent (구성요소)

 

 

죽은 자의 매장

R1:개념적

isAffectedBy (영향요인)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단테 (1265-1321) [Dante, Alighieri]

엘리엇의 『황무지』: 「사자의 매장」과 다원적인 성서 사용

T. S. Eliot’s Pluralistic Use of the Bible in “The Burial of the Dead” of The Waste Land

T. S. 엘리엇연구 | 20 | 1 | 2010 | 영어와문학

엘리엇의 『황무지』: 「사자의 매장」과 다원적인 성서 사용

T. S. Eliot’s Pluralistic Use of the Bible in “The Burial of the Dead” of The Waste Land

T. S. 엘리엇연구 | 20 | 1 | 2010 | 영어와문학

엘리엇의 객관적 상관물과 셰익스피어의 「맥베스」

Eliot’s Objective Correlative and Shakespeare’s Macbeth

T. S. 엘리엇연구 | 21 | 1 | 2011 | 영어와문학

「街外街傳」과 「황무지」에 나타난 이상과 엘리엇의 제휴

An Affiliaton of Yi Sang and T. S. Eliot in “Gawoigajeon”(街外街傳) and “The Waste Land”

비평문학 | 39 | 2011 | 한국어와문학

『황무』 가르치기: 교육학적 접근

Teaching The Waste Land: A Pedagogical Approach

T. S. 엘리엇연구 | 20 | 2 | 2010 | 영어와문학

『황무』 가르치기: 교육학적 접근

Teaching The Waste Land: A Pedagogical Approach

T. S. 엘리엇연구 | 20 | 2 | 2010 | 영어와문학

T. S. 엘리엇의 「황무지」와 김기림의 「기상도」

T. S. Eliot’s The Waste Land and Kim Ki-Rim’s Ki-Sang-Do

T. S. 엘리엇연구 | 21 | 1 | 2011 | 영어와문학

T. S. 엘리엇의 『황무지』에 나타난 도상학적 이미지 분석

The Analysis of Iconographical Images in T. S. Eliot's The Waste Land

서강인문논총 | 33 | 2012 | 기타인문학

A Discourse on The Waste Land and "The Second Coming" from the Perspective on the Coming Days

한국 예이츠 저널 | 34 | 2010 | 영어와문학

A Discourse on The Waste Land and "The Second Coming" from the Perspective on the Coming Days

한국 예이츠 저널 | 34 | | 2010 | 영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