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리엇의 『황무지』: 「사자의 매장」과 다원적인 성서 사용
T. S. Eliot’s Pluralistic Use of the Bible in “The Burial of the Dead” of The Waste Land
T. S. 엘리엇연구 |
20 |
1 |
2010 |
영어와문학
엘리엇의 『황무지』: 「사자의 매장」과 다원적인 성서 사용
T. S. Eliot’s Pluralistic Use of the Bible in “The Burial of the Dead” of The Waste Land
T. S. 엘리엇연구 |
20 |
1 |
2010 |
영어와문학
엘리엇의 객관적 상관물과 셰익스피어의 「맥베스」
Eliot’s Objective Correlative and Shakespeare’s Macbeth
T. S. 엘리엇연구 |
21 |
1 |
2011 |
영어와문학
「街外街傳」과 「황무지」에 나타난 이상과 엘리엇의 제휴
An Affiliaton of Yi Sang and T. S. Eliot in “Gawoigajeon”(街外街傳) and “The Waste Land”
비평문학 |
39 |
2011 |
한국어와문학
『황무』 가르치기: 교육학적 접근
Teaching The Waste Land: A Pedagogical Approach
T. S. 엘리엇연구 |
20 |
2 |
2010 |
영어와문학
『황무』 가르치기: 교육학적 접근
Teaching The Waste Land: A Pedagogical Approach
T. S. 엘리엇연구 |
20 |
2 |
2010 |
영어와문학
T. S. 엘리엇의 「황무지」와 김기림의 「기상도」
T. S. Eliot’s The Waste Land and Kim Ki-Rim’s Ki-Sang-Do
T. S. 엘리엇연구 |
21 |
1 |
2011 |
영어와문학
T. S. 엘리엇의 『황무지』에 나타난 도상학적 이미지 분석
The Analysis of Iconographical Images in T. S. Eliot's The Waste Land
서강인문논총 |
33 |
2012 |
기타인문학
A Discourse on The Waste Land and "The Second Coming" from the Perspective on the Coming Days
한국 예이츠 저널 |
34 |
2010 |
영어와문학
A Discourse on The Waste Land and "The Second Coming" from the Perspective on the Coming Days
한국 예이츠 저널 |
34 |
|
2010 |
영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