쾌락

연구분야 : A030412 인문학 > 철학 > 서양철학 > 심리철학

클래스 : 감정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2321

한자 : 快樂
독일어 : Lust
영어 : pleasure
프랑스어 : Plaisir

c02-01 감정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c02-01 감정 감정

감정 () [ 感情 ]

R1:개념적

isConceptOf (개념(전체))

 

c02-01 감정 감정

주이상스 () [Jouissance]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향락 [ 享樂 ]

철학의 치유적 논변과 실천적 기능

Therapeutic Arguments and Practical Function of Philosophy

현대유럽철학연구 | 22 | 2010 | 서양철학

철학의 치유적 논변과 실천적 기능

Therapeutic Arguments and Practical Function of Philosophy

현대유럽철학연구 | | 22 | 2010 | 서양철학

『연의각』 장면․재담․서술의 독서 효과 —1910년대 통속소설 독서경험 구성을 위한 한 사례로서

A study on the effects of scenes․jokes․narrations of 『Yeonuigak(燕의脚)』

韓國古典硏究 | 23 | 2011 | 고전산문

권태와 쾌락주의: 오스카 와일드의 도리언 그레이의 초상

BOredom and Aesthetiscsm in Oscar Wilde's The Picture of Dorian Gray

현대영미소설 | 19 | 2 | 2012 | 영어와문학

왜 판단력의 적용대상은 예술이어야 하는가? - I. Kant의『판단력비판』 <제2서론>을 중심으로 -

Warum soll der Urteilskraft auf die schöne Kunst angewandt werden? - Durch die zweite Einleitung der Kritik der Urteilskraft Kants -

헤겔연구 | 28 | 2010 | 철학

왜 판단력의 적용대상은 예술이어야 하는가? - I. Kant의『판단력비판』 <제2서론>을 중심으로 -

Warum soll der Urteilskraft auf die schöne Kunst angewandt werden? - Durch die zweite Einleitung der Kritik der Urteilskraft Kants -

헤겔연구 | | 28 | 2010 | 철학

김수영 시론의 숭고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lime in Kim Su-Yeong's Poetics

비평문학 | 43 | 2012 | 한국어와문학

복식(服飾)미와 예술에 대한 미학적 토대 모색 -여성주의 관점에서 기호학적 미학의 적용-

A Study for Aesthetic Basis of Dress Art: A Semiotic Aesthetic Application from the Feminist Point of View

현상학과 현대철학 | 53 | 2012 | 철학

인식적․평가적 경험으로서 미적 감상

Aesthetic Appreciation as Cognitive and Evaluative Experience

인문연구 | 58 | 2010 | 기타인문학

인식적․평가적 경험으로서 미적 감상

Aesthetic Appreciation as Cognitive and Evaluative Experience

인문연구 | | 58 | 2010 | 기타인문학

지상파 리얼 버라이어티의 한국 지역적 특징과 수용의 쾌락

Korean Local Characteristics of Real Variety and Pleasure of Reception

언론과학연구 | 11 | 3 | 2011 | 신문방송학

모리악 소설에 나타난 파리(Paris)

Paris dans les romans de Mauriac

프랑스어문교육 | 40 | 2012 | 프랑스어와문학

보들레르와 女子 (Ⅱ)

Baudelaire et la Femme (II)

한국프랑스학논집 | 75 | 2011 | 프랑스어와문학

에피쿠로스의 욕망과 쾌락 : 인간 중심의 윤리

Pleasure and Desire in Epicurus: Ethics Focused on Man

인문사회과학연구 | 13 | 1 | 2012 | 기타인문학

시간여행 영화의 쾌락: 시간, 죽음, 두려움으로부터의 해방

The Pleasure in the Movies of Travel in Time

영상예술연구 | 18 | 2011 | 기타예술체육

향유(享有)의 즐거움(快)과 행복기제(幸福機制)

Pleasure of enjoyment and Happiness Mechanism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 31 | 2010 | 기타예술체육

향유(享有)의 즐거움(快)과 행복기제(幸福機制)

Pleasure of enjoyment and Happiness Mechanism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 | 31 | 2010 | 기타예술체육

포스트헤게모니 시대의 문화정치: 쾌락, 권력관계 그리고 대중문화

Cultural Politics in the Age of Post-Hegemony: Pleasure, Power and Popular Culture

문학과 영상 | 11 | 1 | 2010 | 영상문학

포스트헤게모니 시대의 문화정치: 쾌락, 권력관계 그리고 대중문화

Cultural Politics in the Age of Post-Hegemony: Pleasure, Power and Popular Culture

문학과 영상 | 11 | 1 | 2010 | 영상문학

에피쿠로스 윤리 사상의 근간에 나타난 자기 추구의 윤리학으로서의 철학 실천에 관하여 - 『메노이케우스에게 보내는 편지』를 중심으로

Zur Philosophischen Praxis als Strebensethik in der Grundlage der epikureischen Ethik - anhand des Lehrbriefes an Menoikeus

철학논총 | 61 | 3 | 2010 | 철학

에피쿠로스 윤리 사상의 근간에 나타난 자기 추구의 윤리학으로서의 철학 실천에 관하여 - 『메노이케우스에게 보내는 편지』를 중심으로

Zur Philosophischen Praxis als Strebensethik in der Grundlage der epikureischen Ethik - anhand des Lehrbriefes an Menoikeus

철학논총 | 61 | 3 | 2010 | 철학

쾌락주의의 계보와 공리주의

The history of hedonism and utilitarianism

철학연구 | 114 | 2010 | 철학

쾌락주의의 계보와 공리주의

The history of hedonism and utilitarianism

철학연구 | 114 | | 2010 | 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