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불론

연구분야 : A030303 인문학 > 철학 > 동양철학 > 중국철학

클래스 : 이론/사상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23675

한자 : 排佛論

d01-01 이론/사상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2-01 문헌명 문헌명

홍명집 [ 弘明集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2-01 문헌명 문헌명

유석질의론 [ 儒釋質疑論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y02-01 문헌명 문헌명

불씨잡변 [ 佛氏雜辨 ]

『범망경』 보살계와 유식학파 보살계의 비교 연구 ─인성에 대한 입장 차이를 중심으로

Comparative Analysis of the Fanwang jing Bodhisattva Precepts and the Yogācāra Bodhisattva Precepts

불교학연구 | 27 | 2010 | 불교학

『범망경』 보살계와 유식학파 보살계의 비교 연구 ─인성에 대한 입장 차이를 중심으로

Comparative Analysis of the Fanwang jing Bodhisattva Precepts and the Yogācāra Bodhisattva Precepts

불교학연구 | 27 | | 2010 | 불교학

삼교일치사상의 논리적 이중성

Logical Duplicity Of The Three Teachings Oneness Thought

불교학보 | 55 | 2010 | 기타불교학

삼교일치사상의 논리적 이중성

Logical Duplicity Of The Three Teachings Oneness Thought

불교학보 | | 55 | 2010 | 기타불교학

삼교의 소통 가능성을 시사한 호법론

The Argument Of Protecting Buddhism Suggesting A Possibility Of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Three Thoughts

철학연구 | 113 | 2010 | 철학

삼교의 소통 가능성을 시사한 호법론

The Argument Of Protecting Buddhism Suggesting A Possibility Of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Three Thoughts

철학연구 | 113 | | 2010 | 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