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

연구분야 : A030303 인문학 > 철학 > 동양철학 > 중국철학

클래스 : 개념(정의)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2418

한자 : 太極
영어 : Great Absolute

d01-04 개념(정의)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isConceptOf (개념(전체))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음양오행설 () [ 陰陽五行說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주자학적 자연관 [ 朱子學的自然觀 ]

命理體質醫學에 관한 연구 -『黃帝內經』 체질론과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Mìnglǐ Constitutional Medicine -Focused on Interrelationship with Huángdìnèijīngtǐzhì Theory-

도교문화연구 | 34 | 2011 | 종교학

망국과 國家 表象의 의미 변화 : 태극기, 오얏꽃, 무궁화를 중심으로

Shifting Meanings of Korean National Symbols in Japanese Occupation Period : Flag of Taegeuk, O-yat flower, and Mugungwha

한국문화 | 53 | 2011 | 기타인문학

牧隱 節義精神의 哲學的 基盤

牧隐 節義精神的哲學基盤

민족문화논총 | 50 | 2012 | 기타인문학

정역사상과 대순사상의 비교 연구 ― 우주론을 중심으로 ―

Comparative Study of Jeong-Yeok Thought and Daesoon Thought ― Focused on Cosmology ―

종교연구 | 60 | 2010 | 종교학

정역사상과 대순사상의 비교 연구 ― 우주론을 중심으로 ―

Comparative Study of Jeong-Yeok Thought and Daesoon Thought ― Focused on Cosmology ―

종교연구 | | 60 | 2010 | 종교학

寒洲性理學에서 太極動靜과 陰陽五行에 대한 一攷

A Study on the Teageugdongjung(太極動靜) and Eumyangoheang(陰陽五行) in Lee Jin-sang's Neo-Confucian Philosophy

퇴계학논총 | 17 | 2011 | 기타인문학

『道德經』의 태극권 拳理와 養生적 가치

探討『道德經』中的太極拳拳理及養生價値

도교문화연구 | 36 | 2012 | 종교학

정조(正祖)에 있어서 왕의 위상과 의미 -「만천명월주인옹자서」에 나타난 리일분수의 개념변화를 중심으로-

The Transition to New Kingship -li yi fen shu as a Political Metaphor for Relation between King and Subjects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 9 | 2 | 2010 | 동양정치사상

정조(正祖)에 있어서 왕의 위상과 의미 -「만천명월주인옹자서」에 나타난 리일분수의 개념변화를 중심으로-

The Transition to New Kingship -li yi fen shu as a Political Metaphor for Relation between King and Subjects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 9 | 2 | 2010 | 동양정치사상

太極旗和周易

Taegeukgi(太極旗) and I Ching(周易)

민족사상 | 5 | 4 | 2011 | 한국정치사상

朱子形而上學의 深層構造― 太極에 대한 理解 ―

The Deep Structure of Zhuzi's Metaphysics

한국철학논집 | 33 | 2012 | 한국철학일반

周敦頤 思想 批判 - 주요 개념을 중심으로 -

周敦頤 思想 批判

철학탐구 | 28 | 2010 | 철학

周敦頤 思想 批判 - 주요 개념을 중심으로 -

周敦頤 思想 批判

철학탐구 | 28 | | 2010 | 철학

주리(主理)·주기(主氣)의 함의 고찰 ― ‘타카하시 토오루의 주리·주기’에 관한 비판과 대안의 검토: 이향준 교수의 「타카하시의 고약한 은유」에 대한 논평을 겸함

主理主氣的含意考察

대동철학 | 55 | 2011 | 철학

訓民正音 中聲의 審美構造 考察

The Aesthetic Structure Focusing on the neutral consonant in 『Hunminjeongum』

서예학연구 | 19 | 2011 | 서예

은유와 유동의 기호학 ― 周易

중국어문학지 | 37 | 2011 | 중국어와문학

朱子의 太極一元論 연구

关于朱子的太极一元论之研究

동양문화연구 | 11 | 2012 | 기타인문학

簡論朱熹「太極」與「理一分殊」之關係

주희의 태극과 리일분수의 관계에 대한 일고

동양문화연구 | 9 | 2012 | 기타인문학

마음의 존재와 그 자각― 동서철학 비교의 지평에서 ‘전체로서의 마음’을 생각하기 ―

Existence of Mind and its Self-Awareness - Thinking ‘Mind as a Whole’ on the Grounds of Comparative Philosophy of East and West -

철학 | 103 | 2010 | 철학

마음의 존재와 그 자각― 동서철학 비교의 지평에서 ‘전체로서의 마음’을 생각하기 ―

Existence of Mind and its Self-Awareness - Thinking ‘Mind as a Whole’ on the Grounds of Comparative Philosophy of East and West -

철학 | | 103 | 2010 | 철학

고봉 기대승의 태극⋅이기론

A study on the theory of Taeguk and Ligi in Ki Dae-seung's thoughts

유학연구 | 23 | 2010 | 철학

고봉 기대승의 태극⋅이기론

A study on the theory of Taeguk and Ligi in Ki Dae-seung's thoughts

유학연구 | 23 | | 2010 | 철학

삼태극三太極/삼원태극三元太極 문양의 기원과 삼파문三巴紋의 유형 분류 - 다양한 삼태극 문양의 활용을 위하여

On the Origin of the Shape of ‘Sam Taegǔk(三太極)’/ ‘Sam-won Taegǔk(三元太極)’ and the Classification of ‘Sam Pamun(三巴紋: Triskel)’ Patterns: for the Practical use of Various ‘Sam Taegǔk’ Patterns

사회사상과 문화 | 21 | 2010 | 사회학

삼태극三太極/삼원태극三元太極 문양의 기원과 삼파문三巴紋의 유형 분류 - 다양한 삼태극 문양의 활용을 위하여

On the Origin of the Shape of ‘Sam Taegǔk(三太極)’/ ‘Sam-won Taegǔk(三元太極)’ and the Classification of ‘Sam Pamun(三巴紋: Triskel)’ Patterns: for the Practical use of Various ‘Sam Taegǔk’ Patterns

사회사상과 문화 | | 21 | 2010 | 사회학

관상식물을 이용한 실내 화훼조형물 개발

Development of Indoor Floral Formatives using Ornamental Plants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 22 | 2010 | 기타예술체육

관상식물을 이용한 실내 화훼조형물 개발

Development of Indoor Floral Formatives using Ornamental Plants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 | 22 | 2010 | 기타예술체육

태극의 이미지를 형상화한 화예디자인 작품 연구

A Study on Work of Floral Art & Design Focused from Image of Taegeuk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 24 | 2011 | 기타예술체육